인류가 외계생명체라는 개념을 처음 품은 것은 아주 오래 전, 지구가 둥근지 평평한지도 모르던 시절의 일이었다. 이후 지구와 우주에 대한 지식은 점점 늘어났고, 2000여 년이 지난 오늘날에는 수백 광년 떨어진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증거를 찾는 수준에 이르렀다. 생명의 기원을 밝히고 지구 밖 생명체를 향해 다가서는 인류의 발걸음은 어떤 과정을 통해 여기까지 왔을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12/비소9(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12/비소10.jpg)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연대기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12/비소9(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Contents/201012/비소10.jpg)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Part 4. 외계생명체 탐사 연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