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수를 쉽게 배우는 ‘분수 쪼개기 놀이’

#분수 #맘모스 #얼음깨기 #분수계산

 

수동병원 에이스인 나, 송화가 추천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지. 내가 분수를 처음 배울 때 이 게임이 있었더라면 더 재미있게 배울 수 있었을 텐데, 일찍 태어나서 서럽다! 분수의 개념을 모르는 친구들도 쉽게 게임을 할 수 있으니 한 번 도전해봐!


이 게임은 게임의 레벨이 아주 세분화돼 있어. 단순히 얼음을 4등분으로 나누면 통과할 수 있는 낮은 레벨부터, 분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 나눗셈을 정확하게 계산해야 다음 레벨로 넘어갈 수 있는 높은 레벨까지, 수십 개의 레벨로 나눠져 있어. 그래서 본인의 실력에 딱 맞는 레벨부터 시작할 수 있지. 


이 게임이 수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2015년 캐나다 퀘벡대학교 몬트리올캠퍼스의 연구진은 139명의 학생들을 세 개의 집단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어. 


집단 1은 분수에 대한 내용을 선생님이 가르쳤고, 집단2는 게임과 선생님의 수업을 합쳐서, 집단3은 게임만으로 수학을 공부했지. 그 결과 실험 전후의 점수가 집단1은 7.6%, 집단2는 10.3%, 집단3은 10.5%가 올랐어. 게임만 한 집단의 성적이 가장 많이 오른 거지. 


게임이 항상 공부에 방해가 되는 건 아니라고~! 게임을 하는 것만으로 이렇게 즉각적인 효과가 보이는데, 게임을 굳이 만들어야겠어? 

 

 

 

 

X, Y가 어색하다고요? 
 ‘드래곤박스 알지브라’

#방정식 #미지수 #문자와식

 

역시~, 에이스는 달라. 이번에는 몸의 중심인 심장을 다루는 흉부외과 의사인 나, 준완이 추천하는 게임이야. 수학의 기본 중의 기본이자 가장 많이 쓰이는 개념인 방정식을 배울 수 있지. 


드래곤박스 알지브라는 x나 y로 표현되는 미지수의 개념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게임이야. 이 게임의 가장 큰 장점은 나도 모르는 사이에 방정식을 풀고 있다는 데에 있어. 게임 화면은 두 개로 나뉘는데 양쪽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카드가 있어. 괴물도 있고, 물고기도 있고, 상자도 있지. 상자를 제외한 카드는 검은 버전과 흰 버전이 있는데 이 둘을 겹치면 은하 모양의 카드로 바뀌면서 사라져. 아직까지 이 게임이 왜 방정식이랑 관련이 있는지 감이 안 오지?


게임의 목표는 상자가 있는 구역의 모든 카드를 없애는 거야. 흩어져 있는 검은 카드와 흰 카드를 겹쳐주면 사라지겠지? 이렇게 하나씩 없애다 보면 한쪽에는 상자만 남게 되고, 다른 쪽에는 없어지지 않은 한 개의 카드만 남게 돼. 이제 좀 감이 오니? 


양쪽으로 나눠진 두 구역은 좌변과 우변을 의미하고, 상자는 미지수의 역할을 하는 거야. 다른 쪽에 남겨진 카드 하나는 방정식의 해가 되는 거지. 단계가 올라가면 이 카드들이 x, y, a, l과 같은 문자로 바뀌어. 하지만 이미 이전 단계들을 통해 방정식의 원리를 익혔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지. 예비 중학생이라면 이 게임에 꼭 도전해봐! 중학교 1학년 수학을 게임으로 몸소 체험할 수 있다고!
 

 

 

 

오일러도 깜짝 놀랄 게임 ‘매스마인크래프트’

#한붓그리기 #그래프이론 #오일러

 

마인크래프트에 여러 가지 맵이 있는 건 알고 있지?데이비드 스트럿 스위스 로잔공과대학교 연구원은 2020년 4월 한붓그리기를 해야 탈출할 수 있는 맵을 개발했어. 한붓그리기는 붓을 한 번도 종이에서 떼지 않으면서 같은 곳을 2번 이상 지나지 않고 모든 점을 잇는 문제로,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 덕에 유명해졌지. 


이 문제를 푸는 원리는 최적의 길을 찾는 여러 분야에 쓰이고 있어. 매스마인크래프트는 한붓그리기 문제가 그려진 지도를 들고 모든 길을 한 번만 밟으며 처음 지점으로 돌아와야 성공할 수 있어. 레이싱 게임과 한붓그리기가 합쳐진 형태의 게임으로, 주어진 시간 안에 미션을 성공해야 하니 수학적 감각이 저절로 키워지겠지?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0년 07월 수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수학
    • 컴퓨터공학
    • 게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