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참여] 열쇠로 상자 열고, 수학으로 퍼즐 풀고!

독자탐방


 
장마가 시작돼 하루 종일 비가 내리던 어느 날, 열쇠·수학 체험전을 찾아 국립광주과학관을 방문했다. ‘만물을 여는 열쇠, 수학’ 여름방학 특별 체험전에서는 조상들이 쓰던 열쇠는 물론 수학을 접목해 만든 예술작품도 만날 수 있다. 열쇠와 수학은 어떤 관련이 있을까? 독자기자들이 전해 주는 이야기를 들어보자.

귀중한 물건을 지키기 위해 꼭 필요한 열쇠와 암호에는 수학이 들어 있다. 어떻게 수학이 그럴 수 있는지 알아 내기 위해 독자기자 두 명이 전시관을 찾았다.

첫 번째 전시관인 ‘수학과 일상의 공간’에서는 다양한 잠금장치를 직접 만지고 열어 볼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건 다이얼을 돌려 번호를 맞추면 열리는 자물쇠를 닮은 금고 ‘크립텍스’다. 크립텍스는 소설 <;다빈치 코드>;에도 나왔다. 국립광주과학관 박주현 연구원은 “이 잠금 장치를 푸는 암호는 국립광주과학관과 관련된 알파벳 4자인데, 이 안에 보물이 숨어 있다”고 말했다. 이 체험전에 가면 꼭 확인해 보자!



아이디어가 열쇠인 퍼즐과 예술

다음에 찾은 곳은 ‘피타고라스의 공간’이다. 여기서는 20여 가지의 퍼즐과 보드게임에 도전할 수 있다. 여러 모양 조각으로 동물, 자동차 같은 그림을 완성하는 탱그램과 숫자와 사칙연산(+,-,×,÷) 기호로 식을 완성하는 프래드만 퍼즐 같은 다양한 놀거리를 만날 수 있다.

바닥에 놓인 ‘좌회전 금지 퍼즐’은 직진이나 우회전만으로 목적지까지 차를 운전하는 경로를 찾는 놀이다. 학생뿐만 아니라 어른도 이 퍼즐에 관심을 보였다. 퍼즐에 도전한 장한결 독자기자는 꾀를 내 출발선 뒤로 차를 모는 아이디어를 냈다. 옆에서 지켜본 기자도 정답이라고 생각했지만 출발선 뒤로 가면 안 된다는 조건이 붙자 조금 더 고민을 더 해야 했다.

피타고라스의 공간을 지나면 ‘수학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방으로 갈 수 있다. 여기서는 지난 7월호에 소개한 수학예술가 조지하트의 작품 ‘스팀’, 앤드류 크롬프턴의 쪽매맞춤 작품도 만날 수 있다. 박경현 독자기자는 “여러 가지 색깔의 고래 모양 그림을 자석으로 붙여 쪽매맞춤을 만드는 게 신기하고 재미있다”고 말했다.

국립광주과학관은 체험전 관람객을 대상으로 전문가와 수학 공부에 대해 상담할 수 있는 ‘수학클리닉’을 일주일에 2번 진행한다. 두 독자기자도 부모님과 함께 수학클리닉에 참가했다. 이곳에서는 수학 체험지도 전문가와 창의력과 논리력을 키우는 방법, 중학생의 경우 실제 수학 공부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함께한 박경현 독자기자의 어머니는 “체험전도 보고 수학 교육에 대해 의견을 나눌 수도 있어 유익했다”는 소감을 밝혔다.

여름 방학을 맞아 이곳에서 지적인 놀이를 통해 수학을 공부해 보는 건 어떨까? 9월 13일까지 진행되는 이 체험전에는 수학을 즐겁게 배우는 방법이 숨어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5년 08월 수학동아 정보

  • 고은영 기자
  • 도움

    박주현 연구원
  • 사진

    JINI
  • 기타

    박경현
  • 기타

    장한결

🎓️ 진로 추천

  • 수학
  • 미술·디자인
  • 교육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