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집][이그노벨상 | 생물학상] 검은 소에게 줄무늬를 그린 이유는?

    줄무늬가 그려진 소, 에탄올에 취한 박쥐, 치즈피자만 먹는 도마뱀?! 특이한 동물이 한자리에 모인 이유는 지난 9월 18일, 2025년 제35회 이그노벨상 시상식이 열렸기 때문이야. 이그노벨상은 미국 하버드대학교의 잡지 <있을 것 같지 않은 연구 회보>가 만든 상으로, 웃기면서 의미 있는 연구에 상을 주고 있지. 어과동이 이그노벨상을 받은 연구자들을 단독 인터뷰했어.

     

    단독 인터뷰 | 코지마 토모키(일본 아이치농업연구센터 가축 및 초원 과학연구소 연구원)

     

    올해 이그노벨상 생물학상의 주인공은 온몸에 흰 줄무늬를 그린 소에 대한 2019년 연구야. 연구를 이끈 일본 아이치농업연구센터 코지마 토모키 연구원에게 이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히 들어봤어.

     

     Q이 연구를 시작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2014년 한 목장에서 일하던 농부가 흡혈 파리를 없애달라고 도움을 요청했어요. 흡혈 파리들은 소의 피를 빨아 먹고 소에게 전염병을 옮겨요. 살충제를 사용해 파리를 쫓을 수도 있지만, 살충제는 환경에 해롭잖아요. 살충제에는 곤충의 신경계를 공격하는 네오니코티노이드 등의 성분이 있어 땅과 강으로 흘러 들어가면 생태계를 오염시켜요. 고민하던 와중 “검은 소에 얼룩말처럼 줄무늬를 그리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떠올랐답니다.


     Q왜 얼룩말의 줄무늬를 떠올렸나요?
    TV에서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데이비스캠퍼스 팀 카로 교수의 연구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을 우연히 봤어요. 얼룩말의 줄무늬가 흡혈 파리의 눈에 착시효과를 일으켜, 파리가 얼룩말이 있는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한다는 내용이었어요. 다른 연구들을 찾아보니, 사람이 그린 줄무늬도 파리를 막는 데 도움이 되더군요. 그래서 검은 소에 흰색 줄무늬를 그리기로 했어요. 흰색 코팅제를 이용해 5cm 정도의 두께로요.


     Q 연구는 어떻게 진행됐나요?
    2017년 8, 9월과 2018년 10월에 우리 연구센터에 있는 검은 소 6마리에 흰 줄무늬를 그렸어요. 그다음 30분 동안, 평범한 소와 줄무늬 소가 머리를 흔들거나 발을 구르는 등 파리의 공격을 피하는 행동의 횟수를 비교했어요. 그리고 소의 옆모습을 찍어서 몸과 다리에 붙은 파리 수를 세었어요. 파리가 소의 몸에 붙어 있으면 소가 공격을 당한다고 봤죠. 9일 동안 아침, 저녁 두 번 소를 관찰했습니다.

     Q줄무늬 소는 흡혈 파리의 공격을 피할 수 있었나요?
    평범한 검은 소에는 최대 128마리, 줄무늬 소에는 최대 58마리의 파리가 붙었어요. 몸에 붙은 파리가 약 45%나 줄어든 거예요. 또 검은 소는 9일 동안 파리나 곤충을 쫓는 행동을 평균 53번 보였지만, 줄무늬 검은 소는 40회에 불과했어요. 파리를 쫓는 행위도 25%가 줄어든 거죠.

     Q이그노벨상 수상 소식을 듣고, 기분이 어땠나요?
    이그노벨상을 받는다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꿈인 줄 알았어요. 상을 받으려고 한 연구가 아니라, ‘살충제를 쓰지 않고 소를 지킬 수 있을까?’ 하는 고민에서 시작된 연구였기 때문이에요. 
    시상식 현장에서 동료들과 얼룩말 줄무늬 셔츠를 입고 깜짝이벤트를 했는데, 그때야 제가 상을 받았다는 걸 실감할 수 있었어요.

     Q어과동 독자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이런 엉뚱한 연구를 할 수 있었던 건, 함께해 준 동료들과 지도 교수님 덕분이에요. 소에 줄무늬를 그리고 싶다고 했을 때, 동료들이 적극적으로 같이 연구하고 싶다고 나섰어요. 함께 실험 설계도 하고, 자료도 모았죠. 여러분도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마음이 맞는 친구들과 힘을 합쳐 그 아이디어를 실험해 보세요. 이그노벨상을 타는 연구가 나올 수도 있답니다!

     

    유튜브 채널 <있을 것 같지 않은 연구 회보> 영상 캡처, GIB

    토모키 연구원은 이그노벨상 시상식에서 줄무늬 셔츠를 입고 나타났다. 파리 떼가 토모키 연구원을 피하는 깜짝이벤트를 선보였다.

     

    소에 앉은 파리 수

     

    Kojima Tomoki et al.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5년 11월 1일 어린이과학동아(21호) 정보

    • 손민하
    • 디자인

      최은영
    • 일러스트

      이창우
    • 도움

      루카 루이셀리(나이지리아 리버스주립대학교 IDECC 대표),  코지마 토모키(일본 아이치농업연구센터 가축 및 초원 과학연구소 연구원),  프란시스코 산체스(콜롬비아 로스야노스대학교 생물학 및 화학과 박사)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