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 먼 미래 기차, 초고속 하이퍼루프

미래에는 도시와 도시, 나라와 나라 사이를 빠르게 달리는 기차가 있을 거야. 여기, 소리의 속도만큼 빠른 기차가 개발 중이라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수소 트램 이후에는 또 어떤 대중교통 수단이 생길까요? 2013년 테슬라, 스페이스X의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는 하이퍼루프를 미래 열차로 제시했어요. 하이퍼루프는 초고속 자기부상열차로,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연결한 진공 파이프 관 안에서 시속 1200km로 달릴 수 있습니다. 

 

하이퍼루프는 자석의 힘을 이용해 움직입니다. 차량의 아랫부분에 있는 전자석과 진공관 바닥에 있는 부상코일은 같은 극끼리 서로 밀어내는 힘으로 차량을 공중에 띄워요. 진공관 바닥에 있는 또다른 코일인 추진코일은 차량이 가는 쪽으로 자석이 힘을 받을 수 있도록 극성을 바꿔가며 차량을 당긴 뒤, 곧바로 차량을 밀어내어 달리게 하지요.

 

보통 고속열차는 바퀴와 선로 사이의 마찰력과 기차가 받는 공기 저항 때문에 시속 400km를 넘기기 어려워요. 그러나 하이퍼루프는 공중에 떠서 움직이므로 바퀴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없습니다. 또한 대기 중의 기압보다 기압이 1000분의 1로 줄어든 진공관 안에 있어서 공기에 대한 저항이 거의 받지 않아요.

 

하이퍼루프의 개발과 시험 운행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중국항공우주과학공업그룹의 연구진은 정확한 속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자신들이 개발한 하이퍼루프인 ‘T-플라이트’가 2km 길이의 시험 선로에서 달리는 데 성공했다고 전했어요. 네덜란드 하이퍼루프 회사인 하르트 하이퍼루프는 420m의 하이퍼루프 진공관을 만들고 하이퍼루프 센터를 만들었어요. 2040년 전엔 승객을 태워 달릴 계획이지요.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부터 하이퍼루프와 비슷한 하이퍼튜브를 연구하고 있어요. 자석 대신 매우 낮은 온도에서 전기 저항이 없는 초전도 전자석을 써요. 시속 1000km로 달려 서울과 부산을 단 20분 만에 갈 수 있지요. 최소 20~30년 뒤에 사람들이 탈 것으로 전망돼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최수용 박사는 “비행기로 3시간쯤 걸리는 거리는 공항 수속 시간 등을 고려해 볼 때 하이퍼튜브로 가는 것이 더 빠를 것”이라고 전했어요. 또한 “먼 미래에 산을 따라 진공관이 설치되고, 기술력이 아주 발전하면 진공관을 이용해 로켓을 우주까지 보낼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어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6월 15일 어린이과학동아(12호) 정보

  • 손인하

🎓️ 진로 추천

  • 교통·철도공학
  • 기계공학
  • 에너지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