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획] 다지류 보면 볼수록 귀여워!

인간은 아직 다지류를 잘 몰라. 여전히 신종이 발견되고 있지. 무지 속에서도 꾸준히 다지류를 연구하는 연구자 두 명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어. 왜 연구를 하는 걸까? 다지류의 어떤 점이 매력적인 걸까?

 

●인터뷰

 

임길영(한국다지류연구소 소장)

“우리나라에도 발견되지 않은 노래기가 엄청 많을 겁니다!”

 

 

 Q어떻게 다지류 연구를 시작하셨나요? 
저는 1980년대 후반 중학교 생물 선생님으로 일하면서 노래기 연구를 시작했어요. 우리나라에는 노래기를 가르쳐 줄 연구자가 계시지 않아 러시아에서 연구법을 배워와야 했죠. 이후 전국을 다니며 노래기를 채집했고, 5000점 이상의 노래기 표본을 수집했습니다. 그러면서 13종의 신종을 발표했지요.
다지류 연구를 한 지 어느덧 30년이 지났고, 제 이름이 들어간 노래기 13종이 남았으니 학자로서 대단한 명예입니다.

 

 Q노래기를 어떻게 채집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노래기가 살 만한 장소에 가서 직접 채집해요. 손으로 숲속의 낙엽 밑을 헤쳐보기도 하고, 덫을 설치하기도 해요. 종이컵 속에다 썩은 과일 등을 넣어두면 며칠 후에 노래기가 갇힌 모습을 볼 수 있죠. 작은 노래기는 크기가 겨우 0.5cm 정도라 찾기 힘든데, 이럴 때는 흙을 퍼서 깔때기에 넣고 위에다 조명을 비춰요. 그러면 노래기가 흙 속으로 도망치다 깔때기 아래로 떨어지죠. 이 도구를 ‘툴그렌 깔때기’라 부릅니다.


 Q우리나라에는 얼마나 많은 노래기가 살고 있나요? 
2021년 말을 기준으로, 7목 15과 31속 72종이 발견됐습니다. 연구가 많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라, 실제로는 훨씬 많은 종이 우리나라에 살고 있을 거예요. 추측건대 300종 정도의 노래기가 있을 겁니다.

 

 Q노래기를 징그럽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요.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노래기는 ‘고운까막노래기’예요. 위협을 받으면 옆구리의 냄새샘에서 악취를 풍기죠. 그래서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정말 아름답고 멋지게 생긴 노래기도 있답니다. 온몸에 털을 달고 있는 ‘털보노래기’는 얼마나 귀여운지 몰라요!

 

 Q다지류 연구가 어떤 도움이 될까요? 
지네의 독이나 노래기가 분비하는 화학물질은 현재 의학계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어요. 이 물질에서 뛰어난 약효를 가진 물질이 나올 수도 있거든요. 앞으로도 노래기는 연구할 거리가 무궁무진할 거예요!

 

 

 

●인터뷰

폴 마렉
(미국 버지니아공학대학교 곤충학부 교수)

“노래기는 상냥한 채식주의자랍니다.”

 

 

 Q미국에 있는 유일한 노래기 연구실을 이끄신다고요? 
맞아요. 이곳에서 노래기의 분류계통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노래기가 어떻게 진화했고 서로 얼마나 가까운 관계인지 연구해요. 지금까지 50종의 신종 노래기에 이름을 붙였죠.

 

 Q어떻게 노래기 연구를 시작하셨나요? 
다섯 살 때부터 동물을 수집하고 공부하는 걸 좋아했어요. 곤충학자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한 건 대학생 때예요. 대학교에서 곤충학을 공부하면서 노래기 연구를 시작했죠.

 

 Q지구에는 아직도 발견되지 않은 다지류가 많을까요? 
네. 다지류 중 가장 많은 종이 발견된 노래기의 경우, 지금까지 1만 3000여 종이 기록되었어요. 하지만 연구자들은 전 세계에 어림잡아 10만 종에 달하는 노래기가 살고 있을 거로 추측해요. 노래기의 다양성에 비하면 현재 노래기 연구자는 턱없이 부족한 편이죠.


 Q노래기의 매력은 무엇인가요? 
노래기는 느릿느릿 움직이는 채식주의자로 상냥한 동물이에요. 종일 풀을 뜯는 소나 염소의 소형 버전이라고나 할까요? 여러분이 조심스럽게만 행동한다면 노래기를 손바닥 위에서 기어가도록 할 수도 있을 거예요. 노래기는 물거나 쏘지도 않고요.

 

 Q다지류 연구가 다른 분야에서도 쓰이나요? 
저는 공학자 동료들과 함께 노래기가 걷는 방법을 연구한 적도 있어요. 노래기의 다리 움직임을 로봇에 응용하면 땅을 파고 들어가 다친 사람을 구하는 로봇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겠지요.

 

 Q다지류에 관심 있는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아이내츄럴리스트(iNaturalist)’라는 홈페이지에는 다양한 생물 사진이 올라옵니다. 만약 특이한 노래기를 찾았다면 사진을 찍어 홈페이지에 올려주세요. 댓글로 제 아이디(@paulmarek)를 남겨주면 제가 어떤 종인지 알려드릴게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2년 0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