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따라잡기] 아일랜드 대기근의 원인은?
“안 그래도 내가 두 번째 규칙을 말하려다 못 했는데, 게임 참여자들은 번갈아 가면서 피젯 스피너를 돌려야 한단다. 한 사람이 혼자 빨리 끝내려고 연속해서 돌리면 피젯 스피너가 도망가 버리지.”
이모의 말을 들은 수호는 채윤이에게 피젯 스피너를 건넸어요. 채윤이가 피젯 스피너를 돌리자 채윤이와 수호는 다시 게임 판으로 빨려 들어갔어요.
‘슈웅~, 쿵!’
떨어진 곳은 밭이었어요. 밭에는 썩은 감자가 나뒹굴고, 깡마른 농부는 그 감자를 힘겹게 긁어모으고 있었지요. 저 멀리 한 무리의 사람들은 마을을 떠나가고 있었어요.
“너흰 누구니? 혹시 먹을 게 있으면 좀 나눠주지 않을래?”
깡마른 농부가 곡괭이를 흙바닥에 질질 끌며 다가왔어요.
“죄송해요. 저희도 여행 중이라 먹을 건 딱히 없어요…. 그런데 무슨 일이 일어난 거죠?”
“감자잎마름병이라는 전염병 때문에 여기 아일랜드에 심긴 감자가 모두 썩고 있어…. 이 나라의 감자는 한 종류뿐이라 싹 다 전염병에 걸렸지. 우리가 먹을 거라곤 감자뿐이라서 여태까지 100만 명이 굶어죽고, 100만 명은 이미 다른 나라로 떠났단다.”
“네에~?!”
*미션 카드 :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알아내라!
[통합과학개념 이해하기] 생물은 왜 다양해야 할까?
지구의 생물은 최초의 생명체로부터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를 거듭했어요. 그 결과, 오늘날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약 135만 종의 동물과, 약 30만 종의 식물을 발견했지요. 아직 인간이 발견하지 못한 모든 생물종까지 합하면 약 1000만에서 3000만 종 이상이 지구에 살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답니다.
생물들은 각기 다른 모습, 다른 방식으로 살지만 서로 먹이사슬 등으로 연결돼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어요. 이처럼 생태계 안에서 조화롭게 어울려 사는 생물들을 통틀어 ‘생물다양성’이라고 하지요.
하지만 최근 멸종하는 생물종들이 급격히 많아지고 있어요. 인류가 출현하기 이전인 20만 년 전에 비해 수백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생물종들이 멸종하고 있지요. 전세계 과학자들은 빠른 멸종 속도를 지적하며 공동성명을 내고 있답니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다른 생물들이 멸종하는 게 왜 심각한 문제일까요? 왜 생물종은 다양해야 할까요?
생물종이 다양하면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있더라도 전체 생태계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즉, 생물다양성이 풍부해야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생물 대멸종을 막을 수 있답니다.
생물다양성이 낮은 생태계
생물종이 적은 생태계는 작은 변화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만약 이 그림에서
쥐가 사라진다면 뱀은 먹을 것이 없어 굶게 된다. 결국 뱀의 수도 크게 줄어들
것이다. 반면에 애벌레는 자신을 먹던 쥐가 사라졌기 때문에 수가 크게
늘어나고, 애벌레가 나뭇잎을 다 갉아먹어 생태계는 곧 무너질 위험에 처한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생태계
여기선 쥐가 사라져도 뱀은 개구리를 먹기 때문에 굶지 않는다.
애벌레 또한 천적인 개구리가 남아있기 때문에 수가 크게
늘어나지 않는다. 즉, 생물종이 다양하면 한 종이 사라져도
다른 종이 대체해 전체 생태계는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통합과학 넓히기] 무너진 바다 생태계는 어떤 모습일까?
최근의 생물 멸종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어요. 그중에서도 과다한 이산화탄소 배출로 생긴 지구온난화는 생태계에 아주 큰 영향을 주고 있지요. 육상의 기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바다에 이산화탄소가 녹아들면서 산성도를 크게 높이고 있어요.
바다의 산성도가 높아지면 조개는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진 껍질이 녹아 생명을 위협받고, 물고기들은 뇌와 중추신경계에 타격을 입는 등의 피해가 발생한답니다.
지난해 7월 미국 애들레이드대학교 연구팀은 바다의 산성화가 전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산성도가 2100년 예측치와 비슷한 해양 생태계와 현재의 평균적인 해양 생태계를 비교 분석했지요. 3년 간에 걸친 조사와 해양 실험을 한 결과, 산성도가 높은 해양 생태계에서는 한두 종의 작은 물고기만 크게 번성하고, 다른 크기의 물고기들은 수가 크게 줄어들거나 멸종한 사실을 확인했어요.
작은 물고기의 수가 늘어난 것은 천적인 중간크기의 물고기들이 사라지기 때문이에요. 사람들의 식탁에 주로 올라오는 중간 어종은 키가 큰 갈조류 숲에 서식해요. 그런데 바다가 산성화되면 다시마 같은 대형 갈조류들은 사라지고 대신 작은 해조류들만 남아요. 이에 따라 중간 어종은 서식지가 없어지면서 그 수가 줄게 되고, 반면에 천적이 사라진 작은 물고기들의 수가 크게 늘어난 거예요.
연구를 이끈 이반 네이겔커켄 교수는 “육지 생태계로 치면 쥐나 바퀴벌레 같은 것들만 남은 것”이라며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여야 하지만, 그에 앞서 중간 어종을 마구잡이로 잡아들이는 남획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어요.
*개념 퀴즈 : 생물종이 적을 때보다 많을 때 생태계가 더 잘 유지된다. (O , X)
[스토리]
아일랜드 대기근을 보고 돌아온 채윤이는 조금 시무룩해졌어요.
“생물들의 멸종을 막는 건 단순히 불쌍해서가 아니라 전체 생태계를 위해서, 그리고 우리를 위해서 꼭 필요한 거였어.”
이모가 채윤이의 머리를 쓰다듬었어요.
“채윤이가 이 게임에서 깨닫는 게 있어서 뿌듯하구나.”
채윤이가 다시 피젯 스피너를 돌리려고 하는 순간 이상한 소리가 들렸어요.
‘뾰로롱~’
피젯 스피너 위로 홀로그램이 재생됐어요.
‘새로운 능력 : 토끼 찬스’
“새로운 능력? 이모, 이게 뭐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