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무더위는 가라! 한여름에 즐기는 스키

아~, 덥다 더워! 추운 겨울엔 뜨거운 여름이 그리웠지만 , 무더운 여름이 되니 다시 흰 눈이 펄펄 내리는 겨울이 그리워져. 이렇게 겨울을 그리워하며 더위에 땀을 뻘뻘 흘리고 있던 우리에게 ‘어린이과학동아’의 취재 요청이 왔어. 그런데 이럴 수가! 흰 눈이 가득 쌓인 스키장을 취재해 달라지 뭐야? 한여름에 스키장을 도대체 어디서 어떻게 취재해야 하지?

 


흰 눈이 가득, 실내 스키장!

고민하던 우리에게 반가운 소식이 들려왔어. 한여름에도 스키를 즐길 수 있는 실내 스키장이 있다지 뭐야? 우리는 당장 실내 스키장 ‘스노우도시’로 취재를 왔어. 와~, 정말 시원한 거 있지? 밖은 30℃를 풀쩍 넘는 폭염인데, 여긴 춥기까지 하더라구! 도대체 어떻게 한여름에 스키를 탈 수 있게 만든 걸까? 그 비밀부터 파헤쳐 봐야겠어!

한여름에도 4℃, 그 비밀은?

보통 우리가 집에서 쓰는 에어컨은 최하18℃로 냉방을 할 수 있어. 하지만 스노우도시에는 한여름에도 내부 온도를 4℃로 조절해 주는 ‘바이패스 쿨러’라는 온도 조절장치가 12대나 설치되어 있단다. 말하자면 거대한 에어컨이 내부 온도를 낮춰 주는 거야.


바이패스 쿨러는 천장 근처에 달려 있어. 찬공기는 내려오고 뜨거운 공기는 위로 올라가는 공기의 성질을 이용하기 위해서지. 그 결과 공기의 대류가 잘 일어나게 되어 전체적으로 시원함을 유지할 수 있단다.

실내 스키장 = 거대한 빙수?

겨울철 실외 스키장도 눈이 오지 않으면 제설기를 이용해 눈을 만들어. 제설기는 작은 물방울을 영하의 차가운 공기 중으로 뿌려서 눈을 만들어. 하지만 실내 스키장은 기온이 영하가 아니기 때문에 물방울을 뿌린다고 해서 눈을 만들 수 없어. 그래서 아예 미리 얼음을 만들고, 이 얼음을 잘게 부숴서 눈을 만든단다. 이런 방식의 기계를 ‘제빙기’라고 불러. 약 140톤의 얼음을 갈아서 뿌린다고 하니, 어마어마하지? 실내 스키장은 거대한 빙수인 셈이야.

 


넘어지는 기술부터 먼저!

스키장에 왔으니 이젠 스키를 타 봐야겠지? 그런데 스키를 타는 방법보다 넘어지는 방법을 먼저 배워야 한다지 뭐야? 도대체 왜 넘어지는 방법부터 배워야 하는 걸까? 또 어떻게 넘어져야 잘 넘어지는 걸까? 정말 궁금해~!

도대체 왜 넘어지는 방법부터 배워야 하나요?

스키는 빠른 스피드를 즐기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다치기 무척 쉽지요. 특히 제대로 넘어지지 못해서 무릎을 다치는 경우가 많답니다. 그래서 스키를 타는 법보다 먼저 잘 넘어지는 방법을 배워야 해요.

그럼 어떻게 해야 잘 넘어질 수 있나요?

스키는 앞뒤로 길쭉한 모양이기 때문에 그냥 땅에서 넘어지듯 엉덩이로 주저앉으면 무릎에 무리가 오기 쉬워요. 그래서 옆의 그림처럼 다리를 모으고 옆으로 넘어져야 한답니다. 또 넘어지기 전에 몸에 긴장을 풀어야 크게 다치지 않아요.

또 주의해야 할 점은 없나요?

재미있고 즐겁게 스키를 타기 위해서는 먼저 안전 수칙을 꼭 지켜야 해요. 또 속도를 내는 방법보다는 속도를 줄이는 방법을 확실하게 배우는 것이 중요하지요. 스키장에서 꼭 지켜야 하는 안전 수칙다섯 가지를 알려 줄게요. 안전해야 즐겁게 스키를 탈 수 있다는 사실, 꼭 명심하세요!


스키장 안전 수칙 5!

➊ 헬멧과 고글, 스키 장갑을 꼭 끼고 타기.
➋ 넘어지는 것을 두려워 말고 잘 넘어지기.
➌ 넘어진 뒤에는 다른 사람과 부딪치지 않게 빨리 일어나 가장자리로 이동하기.
➍ 자기 수준에 맞는 *슬로프에서만 타기.
➎ 스키를 타기 전에 꼭 준비운동 하기.

물리로 배우는 스키!

드디어 신나게 스키를 타는 시간! 그런데 신기하게도 스키를 A자로 만들면 속도가 점점 줄고, 다리에 힘을 주면 방향이 바뀌더라구! 그 원리가 도대체 뭘까?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정말 궁금하지?

스키의 모양이 바꾸는 저항

스키의 속력을 조절하는 것은 바로 저항과 마찰력이야. 스키를 A자 모양으로 만들면 스키가 나란하게 있을 때보다 스키의 이동을 방해하는 저항이 커져. 그래서 스키의 속력이 점점 줄어들게 된단다. 또 ‘에지’라고 부르는 스키의 날 부분이 마치 생선 비늘을 벗기듯 눈을 긁는 형태가 되면 마찰력이 커지면서 속도가 줄어들지. 아직 속도를 내는 것에 자신이 없다면 스키의 모양을 A자로, 꼭 기억해~!
 


S로 돌아돌아 내려와~!

스키를 탈 때 오른발에 힘을 주면 왼쪽으로, 왼발에 힘을 주면 오른쪽으로 방향을 바꿀 수 있어. 그 이유는 스키가 휘어지기 때문이란다.


스키를 타고 있는 발에 힘을 주면 체중이 실리면서 스키가 둥글게 휘게 되는 데, 이 때문에 스키가 회전하게 되는 거야. 위의 그림을 보면 더 쉽게 이해가 되지? 게다가 이렇게 돌아 내려오면 슬로프를 더 천천히 내려올 수 있어. 마치 산을 곧바로 내려오면 경사가 급하지만 둥글게 돌아 내려오면 경사가 완만해지는 것과 같은 원리란다.

얼마 전에 우리나라 강원도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도시로 결정됐어. 이제 7년 후면 우리나라에서 동계올림픽이 열리는 거야. 혹시 아니? 친구들이 평창동계올림픽 스키 종목의 금메달리스트일지 말이야. 이제 스키의 기본에 대해 배웠으니, 우린 이만 쌩쌩 스키를 즐기러 가야겠어. 참, 다시 한 번 얘기하지만 스키를 탈 때 무엇보다 안전이 중요하다는 점, 꼭 기억하자!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1년 1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현수랑 기자
  • 도움

    웅진플레이도시
  • 사진

    최영준 기자
  • 기타

    [참여독자] 마성윤
  • 기타

    [참여독자] 이혜진

🎓️ 진로 추천

  • 기계공학
  • 물리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