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2 보석보다 소중한 신토불이 생물자원
그런 일이 있었군! 갑자기 화가 나는걸?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유용한 생물자원이 외국으로 빠져 나가고 있었다니. 그러면 생물도둑이 지금 우리나라에서 노리는 게 뭐지? 우리가 지켜야 하는 우리 생물자원은 어떤 것들이야?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다. 그러나 사계절이 뚜렷하고 온대기후와 한대기후가 섞여 있어 면적에 비해서는 생물자원이 다양하다. 특히 식물은 약 4000종이 살고 있는데, 최근에는 자생식물을 이용해 신약 개발이 활발하다. 화학적인 방법으로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수십 년의 시간과 천문학적인 돈이 들지만, 식물을 이용하면 훨씬 더 짧은 시간과 적은 돈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식물을 개량하여 가뭄이나 병충해에 강하거나 수확량을 크게 늘리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이런 연구가 완성되기 전에 유용한 식물을 외국에 빼앗긴다면 우리에게 큰 손해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알면 생물도둑이 무엇을 노리는지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어린이 아토피를 치료하는 다래
다래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야생 과일이다. 외국에서 들여 온 키위도 다래의 한 종류다. 다래는 달고 맛이 있어 잼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며 예전에는 해열이나 소화불량 등에 약으로 쓰기도 했다. 최근 우리나라의 동아제약이 다래를 이용해 아토피 치료제와 천식 치료제를 개발해 현재 임상실험을 하고 있다.
속 쓰릴 땐 쑥!
단군신화에서는 곰이 마늘과 쑥을 100일 동안 먹고 사람이 됐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쑥으로 위염을 치료한다. 서울대학교 이은방 교수는 쑥에서 위염을 치료하는 물질을 추출하여‘스티렌’이라는 신약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 식물을 이용하여 신약을 개발한 대표적인 사례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4.jpg)
대머리 아빠를 위한 희소식
점점 시원해지는 머리 때문에 고민하시는 아빠들이 반가워할 소식이 있다. 사이클로스포린이라는 물질은 현재 쓰이는 발모제보다 50~100배의 효과가 있지만 독성이 있어서 아직 발모제로 만들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미생물을 이용하여 사이클로스포린의 발모 효과를 유지하면서 독성을없앨 수 있는 방법을 우리나라에서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이 완성되면 앞으로는 대머리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적조는 내가 책임진다
적조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나서 바닷물을 붉게 만드는 현상이다. 적조가 생기면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해져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한다. 지금까지는 황토를 이용해 적조를 없앴지만 토종해양 미생물인 ‘하헬라 제주엔시스’ 가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죽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제주도 남쪽의 바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제주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마다 적조 때문에 골치를 썩는 어민들이 정말 좋아할 미생물이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5.jpg)
미생물 속 보물지도, 유전체
유전체는 한 세포가 지닌 모든 유전자 정보를 일컫는 말이다. 유전공학이 발달하면서 생물자원 중에서도 생물 속의 정보, 즉‘유전자’가 점
점 중요해졌다. 미생물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유전체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미생물의 다양한 기능 중 에서 원하는 기능만 뽑아 낼 수 있
다. 의약품에 쓰이는 물질이나 알콜 등 우리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6.jpg)
그런 일이 있었군! 갑자기 화가 나는걸?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유용한 생물자원이 외국으로 빠져 나가고 있었다니. 그러면 생물도둑이 지금 우리나라에서 노리는 게 뭐지? 우리가 지켜야 하는 우리 생물자원은 어떤 것들이야?
우리나라는 국토가 좁다. 그러나 사계절이 뚜렷하고 온대기후와 한대기후가 섞여 있어 면적에 비해서는 생물자원이 다양하다. 특히 식물은 약 4000종이 살고 있는데, 최근에는 자생식물을 이용해 신약 개발이 활발하다. 화학적인 방법으로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수십 년의 시간과 천문학적인 돈이 들지만, 식물을 이용하면 훨씬 더 짧은 시간과 적은 돈으로도 가능하다. 또한 식물을 개량하여 가뭄이나 병충해에 강하거나 수확량을 크게 늘리는 연구도 이뤄지고 있다. 이런 연구가 완성되기 전에 유용한 식물을 외국에 빼앗긴다면 우리에게 큰 손해가 된다. 우리나라에서 어떤 연구를 하고 있는지 알면 생물도둑이 무엇을 노리는지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어린이 아토피를 치료하는 다래
다래는 우리나라가 원산지인 야생 과일이다. 외국에서 들여 온 키위도 다래의 한 종류다. 다래는 달고 맛이 있어 잼으로 만들어 먹기도 하며 예전에는 해열이나 소화불량 등에 약으로 쓰기도 했다. 최근 우리나라의 동아제약이 다래를 이용해 아토피 치료제와 천식 치료제를 개발해 현재 임상실험을 하고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jpg)
속 쓰릴 땐 쑥!
단군신화에서는 곰이 마늘과 쑥을 100일 동안 먹고 사람이 됐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쑥으로 위염을 치료한다. 서울대학교 이은방 교수는 쑥에서 위염을 치료하는 물질을 추출하여‘스티렌’이라는 신약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에서 식물을 이용하여 신약을 개발한 대표적인 사례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1.jpg)
바짝 마른 논에도 벼는 자란다
포항공과대학교 황인환 교수는 가뭄이 들어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식물도 물이 부족해지면 물의 사용을 억제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해 자신을 보호한다. 이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ABA라는 호르몬이다. 황인환 교수는 ABA 호르몬의 농도를 높여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식물을 만들어 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농작물을 만들 수 있다.
포항공과대학교 황인환 교수는 가뭄이 들어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식물도 물이 부족해지면 물의 사용을 억제하고 내부에 물을 저장해 자신을 보호한다. 이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ABA라는 호르몬이다. 황인환 교수는 ABA 호르몬의 농도를 높여 환경에 더 잘 적응하는 식물을 만들어 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건조한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농작물을 만들 수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2.jpg)
작다고 무시하면 큰코 다친다
세균이나 아메바 등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생물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페니실린과 같은 약을 만들거나 김치, 요구르트 등의 발효식품을 만드는 데 이미 미생물이 쓰인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겠지?
미생물은 흙 1g 속에 중국 인구보다 더 많은 20억 마리가 살 정도로 그 수가 많고, 아직 연구하지 못한 것들도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미생물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미생물로 어떤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지 알려 주겠다.
폐수를 먹고 전기를 만든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드는 기술은 우리나라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 째로 개발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한 ‘슈와넬라’ 라는 박테리아는 물 속에 있는 오염 물질을 분해하면서 전기를 만든다. 폐수도 정화하고 전기도 만드니 일석이조라 할 수 있다.
세균이나 아메바 등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생물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페니실린과 같은 약을 만들거나 김치, 요구르트 등의 발효식품을 만드는 데 이미 미생물이 쓰인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겠지?
미생물은 흙 1g 속에 중국 인구보다 더 많은 20억 마리가 살 정도로 그 수가 많고, 아직 연구하지 못한 것들도 어마어마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미생물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우리나라에서 미생물로 어떤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지 알려 주겠다.
폐수를 먹고 전기를 만든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전기를 만드는 기술은 우리나라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 째로 개발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한 ‘슈와넬라’ 라는 박테리아는 물 속에 있는 오염 물질을 분해하면서 전기를 만든다. 폐수도 정화하고 전기도 만드니 일석이조라 할 수 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4.jpg)
대머리 아빠를 위한 희소식
점점 시원해지는 머리 때문에 고민하시는 아빠들이 반가워할 소식이 있다. 사이클로스포린이라는 물질은 현재 쓰이는 발모제보다 50~100배의 효과가 있지만 독성이 있어서 아직 발모제로 만들지 못하고 있었다. 그런데 미생물을 이용하여 사이클로스포린의 발모 효과를 유지하면서 독성을없앨 수 있는 방법을 우리나라에서 개발하고 있다. 이 기술이 완성되면 앞으로는 대머리를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적조는 내가 책임진다
적조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늘어나서 바닷물을 붉게 만드는 현상이다. 적조가 생기면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해져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한다. 지금까지는 황토를 이용해 적조를 없앴지만 토종해양 미생물인 ‘하헬라 제주엔시스’ 가 적조를 일으키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죽인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제주도 남쪽의 바다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제주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해마다 적조 때문에 골치를 썩는 어민들이 정말 좋아할 미생물이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5.jpg)
미생물 속 보물지도, 유전체
유전체는 한 세포가 지닌 모든 유전자 정보를 일컫는 말이다. 유전공학이 발달하면서 생물자원 중에서도 생물 속의 정보, 즉‘유전자’가 점
점 중요해졌다. 미생물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는 유전체 정보를 가지고 있다면 미생물의 다양한 기능 중 에서 원하는 기능만 뽑아 낼 수 있
다. 의약품에 쓰이는 물질이나 알콜 등 우리 생활에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만들 수 있다는 뜻이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601/C200723N003_img_06.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