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신이 됐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인간의 손으로 생명체를 만들었다는 거죠? 정말인지 바로 확인 들어갑니다. 팍 팍!
자꾸 꼬무락거리지만 마시고 누구신지 소개 부탁해요.
미생물이 꼬무락거리는 게 당연하죠. 어쨌든 전 ‘마이코플라즈마 미코이데스’라고 하는 긴 이름의 미생물이에요.
당신은 인간이 창조한 생명체라고 하는데 그 말이 맞나요?
음…, 보기 나름이겠죠. 전 한 개의 *염색체를 가진 아주 단순한 세균이에요. 하지만 좀 색다른 방법으로 태어났어요. 먼저 한 세균에 들어 있는 염색체를 뽑아 내 종류가 같은 다른 세균에 넣었어요. 그러자 15만개 당 1개꼴로 새로 집어넣은 염색체가 원래 것을 대신해 주인 행세를 한 거예요.그게 바로 저예요.
그렇다면 인공 생명체라고 할 순 없잖아요?
아직까지는 좀 무리겠지만 인공 생명체를 만들기 위한 과정에 있다고 할 수 있죠. 만일 염색체를 인공적으로 만든다면 같은 방법으로 진짜인공 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과연 인간이 생명체를 창조할 수 있을지, 어디에 쓸지 궁금하군요.
저를 만든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는 인공 연료를 만들고 쓰레기를 정화하는 인공미생물을 만들고 싶어 해요. 하지만 일부에서는 제가 ‘녹색전사 에코’에 나오는 ‘폴루터’처럼 엉뚱한 생명체가 될 수 있다고 걱정하고 있어요.
*염색체 : 여러 유전자가 일렬로 연결된 것. 세포의 머리 격으로 여러 가지 명령을 내리고 유전 정보를 자손에 전달한다.
자꾸 꼬무락거리지만 마시고 누구신지 소개 부탁해요.
미생물이 꼬무락거리는 게 당연하죠. 어쨌든 전 ‘마이코플라즈마 미코이데스’라고 하는 긴 이름의 미생물이에요.
당신은 인간이 창조한 생명체라고 하는데 그 말이 맞나요?
음…, 보기 나름이겠죠. 전 한 개의 *염색체를 가진 아주 단순한 세균이에요. 하지만 좀 색다른 방법으로 태어났어요. 먼저 한 세균에 들어 있는 염색체를 뽑아 내 종류가 같은 다른 세균에 넣었어요. 그러자 15만개 당 1개꼴로 새로 집어넣은 염색체가 원래 것을 대신해 주인 행세를 한 거예요.그게 바로 저예요.
그렇다면 인공 생명체라고 할 순 없잖아요?
아직까지는 좀 무리겠지만 인공 생명체를 만들기 위한 과정에 있다고 할 수 있죠. 만일 염색체를 인공적으로 만든다면 같은 방법으로 진짜인공 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과연 인간이 생명체를 창조할 수 있을지, 어디에 쓸지 궁금하군요.
저를 만든 미국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는 인공 연료를 만들고 쓰레기를 정화하는 인공미생물을 만들고 싶어 해요. 하지만 일부에서는 제가 ‘녹색전사 에코’에 나오는 ‘폴루터’처럼 엉뚱한 생명체가 될 수 있다고 걱정하고 있어요.
*염색체 : 여러 유전자가 일렬로 연결된 것. 세포의 머리 격으로 여러 가지 명령을 내리고 유전 정보를 자손에 전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