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6월 27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되었어요. 이번에 자연유산으로 뽑힌 곳은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성산일출봉, 거문오름 용암동굴 세 곳이랍니다. 세계자연유산은 인류가 보호해야 할 가장 중요한 장소로 지구에 162곳밖에 없어요. 빼어난 아름다움과 함께 지질학적 가치도 높은 보물섬, 세계가 선택한 제주도의 매력에 푹~ 빠져 볼까요?
 

 

 


선문대할망이만든한라산

제주도는 용암이 지각을 뚫고 꿈틀꿈틀 솟아난 흔적을 생생하게 간직하고 있습니다. 여러 번의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제주도는 화산이 만든 보물섬이랍니다. 선문대 할망이 흙을 쌓아 만들었다는 전설을 갖고 있는 한라산, 과연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요?

➊제주도 하부 형성기 (120만~70만 년 전)바다에서 화산이 여러 번 폭발하며 용암이 흘러나와 평평한 섬의 하부가 만들어졌다.


➋제주도 형성기 (70만~30만 년 전)물처럼 잘 흐르는 용암이 여러 번 솟아 겹겹이 쌓이면서 방패 모양의 제주도를 만들었다. 제주도 동서쪽을 중심으로 섬이 커지며 현재와 비슷한 해안이 생겼다.
➌한라산 형성기 (30만~10만 년 전)화산이 폭발하듯 터지며 끈끈하고 잘 흐르지 않는 용암이 쌓여 종 모양의 한라산이 되었다.


➍기생화산 형성기 (10만~수천 년 전)화산 입구가 터져 나간 자리에 백록담이 생겼고 주변에 360여 개의 작은 화산이 터졌다. 이 작은 화산을 기생화산이라 하며 ‘오름’이라고도 한다. 오름은 선문대 할망이 신던 나막신에서 떨어진 흙덩이라는 전설이 있다.


 

한라산 백록담

 


은하수를 잡아당기는 산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한라산은 은하수를 잡아당길 만큼 높은 산이라는 뜻입니다. 한라산은 높이에 따라 고산식물부터 열대식물까지 다양한 식물이 살고 있어요.
 

함박꽃(낙엽활엽수림대

 

네귀쓴풀(고산식물대)

 

설앵초(관목림대)

 

풀싸리(초지대 및 활엽수림대)


한라산은 1795종의 자생식물과 300여 종이 넘는 특산, 희귀식물이 살고 있어 반드시 보호해야 하는 곳이랍니다.

 


물속에서태어난작은신선

성산일출봉은 파도가 깎은 가파른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정상은 대접처럼 둥그렇게 움푹 패여 있답니다. 크기도 어마어마해 높이는 180m, 지름은 600m 정도입니다. 성산일출봉에는 99개의 암석 봉우리가 있어요. 이 암석봉우리가 100개였다면 제주도에도 호랑이가 태어났을 텐데 1개가 부족해 제주도에 호랑이가 없다는 전설이 있답니다.


화산재가 층층이 쌓인 성산일출봉은 물에서 터진 화산이랍니다. 해저 지각에서 솟아오른 용암은 차가운 바닷물을 만나 급히 식고, 바닷물은 2000℃에 달하는 용암의 열 때문에 수증기로 변해 큰 폭발을 일으킵니다. 이렇게 용암과 수증기의 폭발로 산산이 부스러진 화산재가 쌓인 작은 화산을 응회구라고 합니다. 용암이 흘러서 굳은 화산은 봉긋한 산모양이지만, 성산일출봉처럼 화산재가 쌓인 응회구는 높이가 낮고 화산입구가 넓습니다. 물에서 태어난 신비한 화산, 성산일출봉을 만나 보세요.
 

해 뜨는 풍경이 장관인 성산일출봉은 제주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제주 1경으로 꼽힌다

 


용이지나간동굴

우리나라에는 석회암이 녹아 만들어진 석회동굴, 화산폭발로 생긴 용암동굴, 파도가 깎아낸파식동굴이 있습니다. 이 중 용암동굴은 숫자가 매우 적어요. 제주도에는모두 182개의 천연동굴이 있으며 이 중 크기가 크고 지질학적으로 중요한 5개의 용암동굴이 세계자연유산이 됐어요. 아름다운 거문오름 용암동굴 속으로 들어가 볼까요?

만장굴

만쟁이굴로도 불리는 만장굴은 길이가 8928m에 달하는 세계적 규모를 자랑한다. 가재벌레 등 다양한 동굴 생물이 살며 이중, 삼중으로 발달한 동굴이 특징이다. 만장굴에는 높이가 7m에 달하는 용암석주가 있다. 세계적으로 희귀한 이 용암석주(왼쪽사진)는 윗 굴에서 흘러내린 용암이 굳어서 만들어졌다.

당처물 동굴

당처물 동굴은 단순한 용암동굴이지만 석회동굴에서 볼 수 있는 석순, 석주, 종유석 등이 있어 지질학적 가치가 크다.
 

 


용천굴

용천굴은 동굴 안에 있는‘천년의 호수’가 용이 솟아오르는 모습과 같다고 해서 이름붙었다. 천년의 호수는 용암동굴 내에 있는 호수로는 세계 최대의 크기다.
 

 


용암동굴의 탄생

➊ 화산이 폭발하면서 용암이 지표면을 따라 흐른다.
➋ 용암은 치즈크러스트 피자 같아 겉은 빵 껍질처럼 딱딱하게 굳었지만 속은 말랑말랑한 치즈처럼 식지 않은 상태다. 용암은 얇게 굳은 용암 껍데기를 뚫고 쑤욱 빠져 나간다.
➌ 뜨거운 용암이 빠져 나간 빈자리는 동굴이 되고 그 위로 같 은 현상이 반복돼 복잡한 용암동굴을 만든다. 용암동굴 벽에는 용암이 흐른 자국이 남아 있어 옛사람들은 용이 빠져 나간 자리로믿었다.

용암동굴에 고드름?

제주도 해변은 화산암과 조개껍데기가 부서진 모래로 이뤄져 있다. 조개 껍데기의 탄산칼슘은 빗물이나 지하수를 만나면 녹는다. 녹은 탄산칼슘이 용암동굴의 천정에서 다시 고체로 굳으면 고드름 같은 종유석이 되고 바닥에서는 석순이 된다.

세계자연유산으로초대합니다

유네스코의 세계자연유산은 까다로운 심사 과정을 걸쳐 선정됩니다. 제주도도 세계자연유산으로 선정되기까지 8년이 넘게 학술 조사를 했고 제주도민과 국민의 큰 노력이 있었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제주도의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 자연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널리 알린 제주도를 더 아끼고 사랑해야 합니다. 제주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다른 나라의 세계자연유산도 알아볼까요?

미국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

하와이는 지하 깊은 곳의 마그마가 바다에서 분출해 만들어졌답니다.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의 킬라우에아 산은 세계 최대의 활화산입니다. 이 곳은 화산 연구에 중요한 지역으로 용암이 흐르는 모습을 직접 볼 수 있습니다.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

16개의 화산섬으로 이뤄졌으며 다윈의 탐험으로 널리 알려졌어요. 코끼리거북, 바다이구아나 등 희귀 동식물이 살아 생물진화의 야외실험장이라고도 불립니다.

중국 구채구 계곡

9개의 장족 마을이 있어 구채구(주자이거우)로 불리며, 희귀동식물이 살아 세계생물권보호구로도 지정돼 있어요. 여신이 떨어뜨린 거울 조각이라는 호수와 강, 폭포가 보여 주는 신비한 물빛으로 유명합니다.

스위스 융프라우 산

알프스 산맥에 자리한 융프라우 산은 화강암과 석회암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높이가 4000m가 넘으며 빙하가 만든 다양한 지형을 한눈에 볼 수 있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7년 14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남연정 기자
  • 최남용
  • 도움

    박정웅 교사
  • 도움

    손영관 교수

🎓️ 진로 추천

  • 지구과학
  • 환경학·환경공학
  • 도시·지역·지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