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음모

퍼즐 탐정 썰렁 홈즈

지난 호에 그림자를 이용하여 세계를 정복하려는 이탈리아의 과학자‘네가머래도 다비처’의 정체가 밝혀졌다. 그림자 문제를 낸 것은 다름 아닌 아홉 살꼬마. 하지만 그 뒤에는 거대한 검은 조직이 숨어 있었던 것. 그 조직의 이름은‘까마케롬다만드러’. 이제는 그 검은 조직이 다시 썰렁 홈즈에게 도전장을 던졌다. 지난 번과는 다른 그림자 문제로 승부를 걸어 온 것이다. 다시 위기에 처한 썰렁 홈즈. 과연 검은 조직 까마케롬다만드러가 내는 문제를 풀 수 있을까?

꺼진 양초의 그림자, 그 진실을 밝혀라!

“감히 우리 까마케롬다만드러의 일을 방해하려 했다 이거지…. 썰렁 홈즈란 녀석 정말 겁이 없군. 그럼 우리 조직의 검은 맛을 보여 주지. 여기 여러 개의 양초가 있다. 그 중 가운데에 있는 양초 하나만 불이 켜 있고, 나머지는 꺼져 있지. 물론 촛불 때문에 다른 양초에 그림자가 생길 것이다. 하지만 우린 그 양초 그림자의 위치를 조금씩 바꾸어 놓았다. 우린 그림자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있거든. 음하하하! 그럼 실제 그림자가 맞는 양초는 어떤 것인지 맞혀 보아라. 물론 자를 대 보거나 하는 유치한 행동은 하지 않겠지? 그냥 눈으로 보고 맞혀 보아라. 정답을 맞힐 기회는 단 한 번만 주겠다.”
 



움직이는 그림자는 어디에?

“그래…. 썰렁 홈즈가 눈썰미는 있군. 그럼 조금 더 복잡한 문제를 내 볼까? 다음 그림처럼 길이 80㎝ 책상에 두 개의 양초가 놓여 있다. 책상 가운데에 있는 양초는‘한 시간 삼십 분 간격’으로 오른쪽으로 20㎝씩 움직인다. 책상의 오른쪽 맨 끝에 양초가 오면 다시 같은 시간 간격으로 왼쪽으로 움직인다. 지금 시간은 오전 11시 30분. 다음날 새벽 2시 30분이 되면 책상 가운데에 놓인 양초의 그림자는 어디에 위치하겠는가? 어때? 아까 낸 문제보다 는 조금 더 생각해 봐야겠지?”
 

잘못된 썰렁 홈즈의 그림자를 찾아라!

“자…. 이제는 썰렁 홈즈의 관찰력을 한번 시험해 볼까? 그림자를 만들어야 하니까 썰렁 홈즈가 한번 멋진 포즈를 취해 보지. 그래그래. 그렇게 말이야. 아~주 잘 하고 있어. 하지만 조금 유치하구만. 하여간 우린 그 모습의 그림자를 마음껏 만들고 다시 바꾸어 놓을 수 있지. 이렇게 말이야. 음하하하! 여기 같은 모양의 썰렁 홈즈 그림자가 여러 개 있다. 그중에서 방향이 다른 그림자가 단 한 개 있지. 그 그림자를 찾아보아라. 물론 자기의 그림자니까 찾아낼 수 있겠지?”

 


한 사람은 누구란 말이지?

“좋았어. 이제 마지막 문제다. 우리 까마케롬다만드러는 모두 여섯 명으로 구성된 세계 최고의 과학자들이다. 지금 우린 세계를 검은 그림자 속에 넣을 약품을 만들고 있다. 여기가 바로 그 실험실이지. 하지만 뭔가 이상하지? 여기 일곱 사람이 있으니 말이야. 다음 그림자를 보고 우리 검은 조직에 속하지 않은 사람이 누구인지 한번 맞혀 보아라. 썰렁 홈즈가 이 문제를 맞히지 못하면 우리 연구를 모두 완성하여 그림자 세상으로 만들 것이다. 음~하하하하하하하~!!!”
 


썰렁 홈즈의 정답

첫 번째 문제의 답


빛의 직진에 관한 문제. 촛불과 양초, 그림자가 모두 일직선에 있어야 한다. 6번 양초가 정답.

두 번째 문제의 답

오전 11시 30분부터 다음날 새벽 2시 30분까지는 총 15시간, 양초는 모두 열 번을 움직이게 된다. 정답은 3번
 


네 번째 문제의 답

이번 문제 역시 관찰력에 관한 문제다. 사람과 그림자의 특징을 잘 살펴보자. 5번 사람의 그림자가 없다.
 

달아난 여섯 명의 과학자

썰렁 홈즈와‘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의 맹활약으로 검은 조직‘까마케롬다만드러’의 정체가 모두 밝혀졌다. 과학의 힘으로 세상을 정복하려는 나쁜 생각을 하고 있던 여섯 명의 과학자. 하지만 아직도 잘못을 뉘우치지 않고 특수 비행선을 타고 사라져버렸다.
“언젠가 다시 만날 것이다! 썰렁 홈즈! 그날까지 기다려라~!”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5년 06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김원섭 기자

🎓️ 진로 추천

  • 물리학
  • 수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