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2 사랑에 빠진 뇌, 우정을 느낀 뇌

미묘한 감정 변화 일으키는 전기회로

공포를 느낄 때 뇌 편도체(사진의 노란색 부분)의 변화. 공포는 편도체에서 주관하는데, 편도체에 이상이 생기면 공포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돼 있다.공포를 느낄 때 뇌 편도체(사진의 노란색 부분)의 변화. 공포는 편도체에서 주관하는데, 편도체에 이상이 생기면 공포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발표돼 있다.

‘왜 나는 어떤 사람이 미치도록 좋을까?’ ‘왜 나는 분노를 삭이지 못할까?’ ‘왜 나는 갑자기 까닭도 없이 슬퍼질까?’이 질문에 대한 똑부러지는 대답은 아직까지 없다. 인간 감정의 생물학적 메커니즘은 거의 밝혀져 있지 않기 때문이다. 아마도 무언가를 느끼는 행위는 학습이나 기억, 추리 등의 ...(계속)

글 : 김문수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mkim@chonnam.ac.kr

과학동아 2003년 10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3년 10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