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발효과학의 결정체 김치

김치는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화학반응 덕 분에 비타민과 유기산 등 유익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따라서 김치는 배추와 양념이 단순하게 버무려진 음식이 아닌,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복합적인 발효 반응 이 일어나는‘과학적’음식이다.김치는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화학반응 덕 분에 비타민과 유기산 등 유익한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다. 따라서 김치는 배추와 양념이 단순하게 버무려진 음식이 아닌, 미생물의 활동에 의해 복합적인 발효 반응 이 일어나는‘과학적’음식이다.

“다른 건 다 참을 수 있겠는데, 김치 생각만큼은 정말 간절하더라.”잠시 한국을 떠나 외국에서 생활했던 사람들이 빼놓지 않고 하는 말이다. 김치 없이는 정말 못산다는 노랫말까지 있으니 우리 민족과 김치는 결코 뗄 수 없는 사이인 듯하다. 과학적인 발효 식품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는 김치. 김장철을 맞아 김치 속에 숨은 과학 이야...(계속)

글 : 장미경 rose@donga.com
이미지 출처 : 동아일보 출판사진부

과학동아 2002년 12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2년 12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