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로봇공학

극한 환경에 투입, 잔심부름도 척척

(그림) 로봇의 부위와 연구 분야^로봇은 사람처럼 주위 환경의 정보 를 받아들이고 이런 상황에서 자기 가 해야할 일을 선택해 움직이게 된 다. 따라서 로봇에는 각종 감각센 서, 인공두뇌(컴퓨터), 구동장치, 동력장치 등이 필요하다. 이런 장치들을 갖추기 위해서는 한 분야의 연구만으로 부족하고 기계 전자 전기 전산(컴퓨터) 분야 등 여 러 분야의 공동 연구가 이뤄져야 한 다. 사진의 모델은 지난해 11월 첫 선을 보인 일본 소니 사의 SDR-3X.(그림) 로봇의 부위와 연구 분야^로봇은 사람처럼 주위 환경의 정보 를 받아들이고 이런 상황에서 자기 가 해야할 일을 선택해 움직이게 된 다. 따라서 로봇에는 각종 감각센 서, 인공두뇌(컴퓨터), 구동장치, 동력장치 등이 필요하다. 이런 장치들을 갖추기 위해서는 한 분야의 연구만으로 부족하고 기계 전자 전기 전산(컴퓨터) 분야 등 여 러 분야의 공동 연구가 이뤄져야 한 다. 사진의 모델은 지난해 11월 첫 선을 보인 일본 소니 사의 SDR-3X.

상상속에서만 존재하던 로봇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실제 강아지처럼 행동하는 애완용 로봇에서 사람 형상을 닮은 로봇까지. 앞으로는 설거지하고 청소하며 경비를 서는 로봇을 쉽게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1세기 첨단과학 로봇공학을 만나보자.올해 고등학교에 입학한 K군. 평소 로봇에 관심이 많던 K군은 얼마 전 텔레비전 저녁뉴스에서 흥미로운 뉴스를 보았다. 다름...(계속)

글 : 이충환 cosmos@donga.com
이미지 출처 : 포항공대, 동아일보 사진DB파트

과학동아 2001년 04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2001년 04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