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좌)과 비정상(우) 13번 염색체를 현미경으로 직접 본 것.
현재 2천개 정도의 유전자에 대한 염색체지도가 작성돼 유전병 극복에 기여하고 있다.생명과학의 발달은 인류를 풍요롭고 쾌적한 여건에서 살 수 있도록 해 왔다. 이제 21세기 문턱에 선 생명 과학은 인간 자신을 주제로 하는 대규모 '인체게놈연구사업'(human genome project)을 범세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인간모습의 반영인 유전형질의...(계속)
글 : 이대실 유전공학연구소
과학동아 1992년 04호
과학동아 1992년 0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