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PART 4 문명의 모태

문명은 대하(大河)에서 시작되었고 현대 산업문명에서 물은 혈액과 같다.

항주에서 북경까지^북경에서 항주까지 중국의 동부 충적평야를 종단(縱斷)하여 뻗은 총길이 1600km가 넘는 이 대 운하는 도중에 많은 하천과 호수를 이용했다. 너비가 가장 좁은 곳에서도 30m이며 전성기에는 대형목조선이 연간 200만 t의 곡물을 수송하고 있었다. 금세기에 접어들어 각 지역이 황폐하여 오늘날에는 교통 불가능(점선부분)이 되어 있다.그러나 옛 운하의 몇 개가 복구되어 1년중 일정 기간은 운행 가능하게 됐다.항주에서 북경까지^북경에서 항주까지 중국의 동부 충적평야를 종단(縱斷)하여 뻗은 총길이 1600km가 넘는 이 대 운하는 도중에 많은 하천과 호수를 이용했다. 너비가 가장 좁은 곳에서도 30m이며 전성기에는 대형목조선이 연간 200만 t의 곡물을 수송하고 있었다. 금세기에 접어들어 각 지역이 황폐하여 오늘날에는 교통 불가능(점선부분)이 되어 있다.그러나 옛 운하의 몇 개가 복구되어 1년중 일정 기간은 운행 가능하게 됐다.

인간문명의 역사는 물과의 투쟁이라 말할 수 있다. 사람들은 물의 맹위에 재앙을 당해 꿇어 엎드렸고, 가뭄과 물 부족으로 식수와 식량을 얻지못하고 고통을 당하였다. 물이 부족하면 청결한 위생생활을 영위할수가 없으며 산업활동이 마비가 된다. 인간은 물을 지배하고 정복하여 문명을 발달시켜왔다.물은 인류역사가 시작된 이래 양식의 근원이며 동시에 교통의 수단이 되기...(계속)

글 : 정용 연세대

과학동아 1987년 06호

태그

이전
다음
1
과학동아 1987년 06호 다른추천기사
  • 폴리매스 문제는 2019년도 정부의 재원으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입니다.

  • ☎문의 02-6749-3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