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환경] 2100년 서해 온도 4.5℃나 오른다

최근 10년 대비 2091~2100년 해수면 온도 변화
▲기상청
저탄소 시나리오(SSP1-2.6)에서는 해수면 온도가 2050년까지 상승한 뒤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고탄소 시나리오(SSP5-8.5)에서는 해수면 온도가 계속 상승한다. 2091~2100년경에는 최근 10년 평균 해수면 온도인 21.1℃보다 4.28℃ 가량 높아져 25℃를 넘길 것으로 보인다.

 

2100년, 우리의 바다는 어떤 모습일까? 2024년 12월 26일, 기상청 산하 국립기상과학원은 송하준 연세대 대기과학과 교수, 탁용진 강릉원주대 해양생태환경학과 교수 연구팀과 함께 한반도 주변 바다가 2100년까지 겪게 될 변화를 예측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기상청은 “주변 바다의 수온은 최고 4.5℃까지 오를 수도 있다”고 밝혔다.

 

국립기상과학원은 자체 개발한 기후변화 예측 모델인 K-ACE를 활용해 한반도 바다의 미래를 예측했다. 연구는 공유사회경제경로(SS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했는데, 이 시나리오는 사회경제적 상황에 따른 미래를 가정한 것이다. 예를 들어, SSP1은 지속 가능한 발전, SSP2는 현재와 비슷한 중간 경로, SSP3은 지역 간 갈등, SSP4는 불평등 심화, SSP5는 화석연료에 의존한 성장을 가정한다.

 

예측 결과,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SSP5-8.5 시나리오에서는 한반도 주변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평균 4.28℃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해와 동해 중부에서는 온도가 4.5℃까지 오를 가능성이 크다. 바닷물이 이렇게 뜨거워지면 물에 녹아 있는 산소가 줄어들어 해양 생물들이 산소 부족으로 떼죽음을 당할 수 있다. 실제로 2023년 8월, 미국 멕시코만에서는 해수 온도가 33℃를 넘어서면서 수천 마리의 물고기가 산소 부족으로 죽어 해변으로 밀려온 일이 있었다.

 

고탄소 시나리오에서는 ‘해양열파’로 불리는 해양 폭염 현상도 심각해질 전망이다. 해양열파는 최근 10년 하루 평균 수온을 기준으로 상위 10%의 고수온이 5일 이상 이어지는 현상이다. 2100년에는 해양열파 현상이 한 해 295일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숫자는 저탄소 시나리오보다 약 100일 더 많은 수치이며, 해양열파의 강도 역시 현재보다 2.54℃까지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해양열파는 폭염, 폭우, 태풍 등 이상 기후 현상을 더 자주 일어나게 만든다. 기후 위기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해수면 높이도 지금보다 평균 50cm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해안 지역의 침수 위험을 높이고, 어업과 양식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줄 수 있다. 

 

기상청은 이런 변화가 해안 지역 주민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한반도 주변 해역에 대한 자세한 미래 예측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라며 “앞으로도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계속 생산해 기후 변화에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2025년 2월 과학동아 정보

  • 김미래
  • 디자인

    이형룡

🎓️ 진로 추천

  • 기상학·대기과학
  • 지구과학
  • 해양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