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2014/12/1766662494549a66395ae02.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2014/12/451375332549a6641df707.jpg)
빅2의 치열한 1위 싸움
투표 초반부터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의 치열한 1위 다툼이 시작됐다. 20세기 과학사를 뒤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old/article/2014/12/1286628270549a6710afb8a.jpg)
1위는 달랐지만, 일반인과 물리학자 집단의 전체 투표결과는 비슷했다. 국형태 가천대 나노물리학과 교수는 “현대과학의 성과가 사회전반에 상당히 잘 알려진 것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몇 가지 눈에 띄는 차이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빅뱅과 현대우주론’이 일반인에서는 4위(37%)를 한 반면 물리학자에서는 9위(18%)를 한 것이다. 국형태 교수는 “최근 교양전문도서, SF, 영화 등을 통해 특히 우주론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과 이해가 보편화됐다”고 해석했다. 영화 ‘인터스텔라’ 열풍이 한참일 때 설문조사가 진행됐다는 점도 참고할 만하다. 김교수는 물리학자 집단에서 우주론 분야가 저조한 성적을 보인 이유를 “과학자들은 좀더 현실적인 영향력을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후보에 ‘초끈이론’이나 ‘평행우주’를 넣었으면 어떻게 됐을까. 김 교수는 “일반인들에게 엄청 높은 순위를 받았겠지만 과학자들에게는 거의 꼴찌를 받았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국 교수는 설문조사에서 한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짚어냈다. 과학자 집단의 노력에 따라 과학적 성과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가 바뀔 수도 있다는 사실이다. “과학자는 흔히 뛰어난 연구결과를 성취하는 것만을 목표로 합니다. 하지만 과학은 궁극적으로 과학자의 전유물이 될 수 없으며, 사회의 공감 없이 나 홀로 발전하는 과학은 현실과 엇나갈 수밖에 없습니다. 과학자는 일반인과 소통하는 노력을 간과해서는 안 되며,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과학자 스스로가 깊은 성찰을 거듭할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일반상대성이론 100
INTRO. 상대성이론 vs 양자역학
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
PART2. 상대성이론 이해하기
PART3. 우주를 뒤바꾼 일반상대성이론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
PART 5. 중력파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