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이슈다. TGIF(Thanks God, It’s Friday! 신이여 감사합니다. 금요일이군요!)라는 말도 이제는 Twitter, Google, iPhone, Facebook의 약어로 쓰인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페이스북 사용빈도가 사용자의 사회성을 나타내고 두뇌의 크기와도 관련 있다고 해 논란이다.

How active you are on social networks such as Cyworld and Facebook may depend on the size of your brain, according to a new research. Scientists discovered that those who are more social in general tend to have larger amygdalae than their peers.

Researchers found that people who have a large number of friends on Facebook tend to have more grey matter in portions of their brains than those with much fewer friends. Those with enlarged amygdalae, a region of the brain associated with emotions, tend to have more friends in the real world as well as virtual pals. The scientists don’t claim to know what that means, but believe the findings are a start to understanding neurologically how humans relate to one another in a world that is increasingly knitted together by online social networks. The study is published in this week’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The scientists from University College London, funded by the Wellcome Trust, examined 125 UCL students under an MRI device. All the students were active Facebook users with a median of 300 friends. They compared the brain scans with their network of peers, and found enlargement in four areas mentioned above. “The function of some of these areas seem to involve some aspects of how we behave with other human beings.” said the scientists who conducted the research. To crosscheck the result, scientists repeated the study with 40 more students, obtaining same results.

The superior temporal sulcus helps us look at where others are gazing and gives us cues about others’ emotions. Defects in this area are associated with autism. The medial temporal gyrus is activated when other people look at us and also helps us react to social cues. Lastly, the entorhinal cortex is linked to memory and navigation. Scientists said the most plausible explanations for the increased grey matter are, either people with expanded grey matter are hard-wired to be more social and this is reflected in the Facebook numbers, or the grey matter grew because of the socialization. It’s known, for example, that learning new motor skills, such as juggling, can increase grey matter.

The topic of whether social networks and computer games are harmful is particularly hot among scientists in Britain. A prominent British neuroscientist Susan Greenfield, caused a sensation in the media when she testified before parliament and said that social networks could produce a mind that is almost “infantilized, characterized by short attention spans, sensationalism, inability to empathize and a shaky sense of identity.”



[페이스북을 만든 마크 주커버그의 페이스북 사이트]
 

해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당신의 뇌를 크게 만들까요?

연구결과에 의하면 두뇌의 크기가 싸이월드나 페이스북같은 소셜 네트워크에서의 활동정도를 결정하는지도 모른다. 과학자들은 사회적인 사람일수록 동료보다 더 큰 편도체를 갖는 것을 발견했다.

페이스북 친구가 많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면적대비 두뇌에 더 많은 회백질이 있다. 감정과 관련 있는 뇌부위인 편도체가 큰 사람은 온라인뿐만 아니라 실제 세상에서도 친구가 더 많은 경향이 있다. 이 연구의 의미는 아직 잘 모른다. 다만 점점 더 많은 사람이 온라인 SNS로 서로 연결되는 세상에서 인간이 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신경생리학적으로 이해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로열 소사이어티 B라는 학술지에서 소개됐다.

웰컴재단의 지원을 받은 런던대(UCL)의 과학자는 대학생 125명을 MRI(자기공명영상)기기로 촬영했다. 이들은 페이스북에서 평균 300명 이상의 친구를 가진 활동적인 학생이었다. 이 학생들의 뇌사진을 동료들과 비교했더니 편도체 등 위에 언급된 네 영역에서 뇌가 확대돼 있었다. 이 연구를 한 과학자는 “뇌의 이 영역은 우리가 다른 인간과 어떻게 행동하는지와 관련 있는 부위입니다”라고 말했다. 결과를 확증하기 위해 40명을 추가로 모집해 동일한 실험을 했을 때도 같은 결과였다.

뇌의 상측두구 영역은 다른 사람이 보는 곳을 함께 보도록 하고 타인의 감정에 관한 힌트를 주는 곳이다. 이 부위가 손상되면 특정한 자폐증이 생긴다. 중측두회 영역은 다른 사람이 우리를 쳐다볼 때 활성화되며 사회적 신호에 반응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내후각피질은 기억 및 이곳저곳을 돌아다니는 기능과 관계있다. 회백질이 커진 현상에 대한 과학자의 가장 그럴듯한 설명은 큰 회백질을 가진 사람이 더 사회적이고 이들의 사회성이 페이스북 친구의 수로 나타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설명은 사람이 사회적으로 활동하면 회백질이 커진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저글링 같은 새로운 운동을 배우면 회백질이 확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셜네트워크와 컴퓨터 게임이 해로운가에 대한 문제는 특히 영국의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란거리다. 유명한 신경과학자 수전 그린필드는 영국 의회에서 “소셜네트워크 사용자는 어린아이처럼 유치해지고, 집중력이 떨어진다. 또 엽기적인 자극을 선호하고, 타인과 공감하지 못할 뿐 아니라 불안한 자아정체성을 가진다”고 말해서 논란이 됐다.


본고는 해외 언론의 과학기사를 참조해, 한국 학생의 영어교육을 위해 문장과 내용을 수정 및 재편집한 글입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1년 12월 과학동아 정보

  • skyrider 기자

🎓️ 진로 추천

  • 심리학
  • 컴퓨터공학
  • 사회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