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There was a hope for a brighter future in the Taser gun. When inventor Jack Cover, who died Feb. 7 at 88, first conceived his controversial stun gun, he imagined a world in which danger could be averted without the use of deadly force. A nuclear physicist who studied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under famous physicist Enrico Fermi, Jack Cover worked as a contract scientist on NASA's Apollo moon program. It was during this period in the 1960s, an era of civil unrest, airplane hijackings and urban violence all over the world. He began to ponder the need for a nonlethal weapon.

Jack Cover recalled his favorite book of childhood adventure story books, Writer Victor Appleton's ‘Tom Swift and His Electric Rifle’. Jack Cover used to exclaim, “What an amazing thought it is, to stun people with blue balls of electricity!” After a while, Jack Cover finally came up with a name for his invention - a new stun gun. The name was TASER, which stands for ‘Thomas A. Swift's Electric Rifle’, the title of his favorite book. The gun resembled a large flashlight, and it fired darts that delivered an electrical current through the human body. It briefly incapacitates anyone on the receiving end.

The Taser was launched in the mid-1970 and is now used by thousands of police departments and military agencies worldwide.
But the device's efficacy has been hotly debated, especially over its role in the 1991 Rodney King incident. The Rodney King incident was a hot issue then. It was an incident that several white police officers stunned a black man named Rodney King with a Taser and they hit them brutally. It was captured on video tapes, and it made American citizen very angry when it went public. Human rights organizations such as Amnesty International have strongly criticized the regularity with which police officers use the taser guns, attributing hundreds of deaths to incorrect Taser use.

Multiple product redesigns and Rodney King incident later, the Taser remains contentious, although late Jack Cover never doubted his invention's mission. “I would rather see someone get shot with a Taser gun” he once said, “than a real gun.”

해석
테이저총에는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희망이 담겨 있다. 지난 2월 7일 88세를 일기로 타계한 발명가 잭 커버가 논쟁 많은 마비총을 처음 고안한 것은 살상무기 없이도 안전할 수 있는 세계를 꿈꿨기 때문이다. 유명한 물리학자인 엔리코 페르미의 제자로서 시카고대에서 핵물리학을 전공한 잭 커버는 NASA의 아폴로 달 탐사 프로그램의 계약직 과학자로 일하기도 했다. 당시는 시민 폭동과 비행기 납치, 도시 폭력이 세계 전역에서 발생한 1960년대였다. 그는 비살상 무기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잭 커버는 그가 어릴 때 가장 즐겨 읽던 모험 소설책인, 작가 빅터 애플턴의 ‘톰 스위프트와 그의 전기총’을 생각해 냈다. 잭 커버는 “전기로 만든 파란 공으로 사람들을 기절시키다니, 정말 놀라운 생각이 아닌가!”라고 감탄하곤 했다. 얼마 후, 잭 커버는 그의 새로운 발명품인 마비총의 이름을 고안해냈다. 그 이름은 테이저(TASER), 그가 좋아한 소설책 ‘Thomas A. Swift's Electric Rifle’(톰 스위프트와 그의 전기총) 제목의 약자였다. 그 총은 커다란 손전등과 비슷하게 생겼는데 인체에 전류가 흐르게 하는 다트를 발사했다. 그것을 맞은 사람은 누구라도 잠시 행동불능 상태가 됐다.

테이저총은 1970년대 중반부터 판매되기 시작해 지금은 전 세계 수천 곳에 이르는 경찰기관과 군부대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총의 효율성에 대해서는 뜨거운 논쟁이 벌어지곤 했는데, 특히 1991년에 있었던 로드니 킹 사건이 그렇다. 로드니 킹 사건은 백인 경찰 여러명이 로드니 킹이라는 흑인을 테이저총으로 쏜 뒤 거칠게 폭행한 사건으로 당시 뜨거운 이슈를 불러일으켰다. 비디오테이프에 녹화된 장면을 본 미국 시민들은 매우 분개했다. 국제 암네스티 같은 인권 단체는 테이저총을 잘못 써서 수백 건의 사망사고가 일어났다고 주장하며 경찰들의 잦은 테이저총 사용을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수차례에 걸친 디자인 변경과 로드니 킹 사건 이후에도 테이저총은 여전히 논쟁거리로 남았지만 발명가인 고(故) 잭 커버는 그의 발명 목적에 대해 확신했다. 그는 “나는 누가 진짜 총에 맞는 걸 보기보다는 차라리 테이저총에 맞는 걸 보겠다”고 말한 적이 있다.

●Check Point
비살상 제압무기(상대를 죽이지는 않고 행동불능 상태로 만드는 무기)는 평화적인 목적으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종종 일어나는 안전사고들로 인해 끊임없이 논란이 제기돼 왔다. 이번 호에서는 대표적인 비살상 무기인 테이저총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자.

동영상으로 보는 과학
① http://tinyurl.com/56mqkz : 테이저총의 시범 사격 영상이다.
② http://tinyurl.com/b3crtx : 경찰이 음주운전 용의자를 체포하는데 테이저총을 지나치게 남용했다며 비판을 받았던 영상이다.
③ http://tinyurl.com/2gfszm : 테이저총이 완전히 안전하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 또 하나의 영상이다.
④ http://tinyurl.com/ykzpd7 : 유명한 가수와 배우들이 TV쇼에서 테이저총을 직접 맞아보고, 직접 총의 위험성을 알리는 영상이다.

※ 기사의 원문 및 사진의 저작권은 타임워너사에 있으나 한국의 학생들에게 맞게 문장과 단어를 수정하고 재편집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9년 04월 과학동아 정보

  • skyrider 기자

🎓️ 진로 추천

  • 물리학
  • 법학
  • 경찰행정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