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ID+IM' 연구실

나는 디자인한다, 고로 존재한다


지난해 대만 국제디자인 공모전에서 금상을 받은 휴대형 정수기‘바텀업’.


지난 2001년에 선보인 MP3 플레이어 아이팟의 후폭풍은 어마어마했다. 출시 직후부터 일었던 소비자의 폭발적인 반응 덕분에 누적 판매대수가 1억대까지 치솟았다. 현재 미국 시장의 80%가 아이팟의 몫이다. 전문가들과 소비자들은 뛰어난 디자인을 성공요인으로 지적한다. 이는 회사 부사장이며 수석 디자이너이기도 한 조너선 아이브의 공이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산업디자인학과 소속의 ‘ID+IM’ 연구실을 이끄는 배상민 교수는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디자이너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I design, therefore I am(나는 디자인한다, 고로 존재한다)’. 을 줄인 연구실 이름에서 보듯 디자이너로서 이들이 느끼는 자부심은 대단하다.

ID+IM 연구실은 지난해 대만에서 열린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금상과 장려상 수상자를 한꺼번에 배출하며 ‘한국산’ 조너선 아이브의 산실로 주목받고 있다.

‘하이테크’ 아닌 신선한 발상으로 세계 1위
 

발광 다이오드를 넣은 탁구공을 여러 개 늘어뜨린‘핑퐁 스크린’.


‘ID+IM’ 연구실은 대만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소비자에게 호소력을 갖는 제품은 수준 높은 기술이 아니라 생활 속을 파고드는 아이디어와 디자인에 있다’는 메시지를 던졌다.

배 교수는 “최고상인 금상을 받은 ‘바텀업’은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은 곳에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한 휴대형 정수기”라며 “다른 팀은 공모전의 주제였던 ‘유목민’을 소화하려고 ‘하이테크’에 매달렸지만 우린 오히려 평범한 기술을 바탕으로 접근했다”고 말했다.

전 세계에서 유통되는 플라스틱 페트병의 주둥이 크기가 같다는데 착안해 제작한 ‘바텀 업’은 엄지 크기의 몸체에 필터를 내장했다. 또 입맛에 따라 필터에 각종 차를 넣어 마실 수 있도록 했다. 기술 수준을 높이는 대신 ‘휴대형 정수기’라는 신선한 발상을 시각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해 1등에 오른 것이다.

한발 앞선 상상력
 

‘ID+IM’연구실 구성원. 가운데가 배상민 교수다.


배 교수팀의 톡톡 튀는 상상력과 디자인의 원천은 학창시절부터 정평이 난 배 교수의 감각에 있다. 패션 분야의 미국 최고명문학교 파슨스디자인스쿨을 다닌 그는 졸업하던 해인 1997년에 미국 전체 디자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진대회에서 1등을 차지했다.

출품작은 인체를 형상화한 오디오 시스템. 배 교수는 “심장과 갈비뼈, 동맥을 기계장치를 통해 표현했다”며 “특히 광섬유가 음악에 맞춰 각양각색의 빛을 내도록 해 혈관의 느낌을 화려하게 보여줬다”고 말했다. 당시 수상을 계기로 그는 졸업하자마자 파슨스디자인스쿨 교수로 임용됐다.

그 뒤 배 교수는 산업디자인계의 ‘미다스 손’으로 성장했다. 국내외 전자회사와 기계회사들이 앞다퉈 자사 제품을 디자인해달라는 러브콜을 던진 것. 실제로 지난 2003년에 코닥에서 의뢰받아 누구나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디자인한 디지털 카메라는 유럽 시장에서 큰 인기를 누렸다.

그러나 배 교수가 상용화 목전에 있는 제품에만 관심을 쏟는 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디자인이 제품시장을 이끄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한다. 때문에 그의 작품에는 현실보다 한발 앞선 상상력이 묻어 있다. 최근엔 발광다이오드(LED)를 넣은 탁구공을 여러 개 늘어뜨려 광고판이나 조명등으로 쓸 수 있도록 한 작품인 ‘핑퐁 스크린’을 만들었다.

배 교수는 “앞으로는 어느 회사 제품이냐보다 누가 디자인했느냐가 가치를 결정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며 “창의력을 갖춘 ‘스타 디자이너’를 기르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7년 08월 과학동아 정보

  • 이정호 기자

🎓️ 진로 추천

  • 미술·디자인
  • 산업경영공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