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을 지은 조선시대 명의 허준이 동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성홍열에 대해 관찰 연구를 한 사실이 밝혀졌다.
한국과학기술원 신동원 교수는 18일 한국과학사학회 ‘이달의 과학기술인물 세미나’ 에서 “허준은 1613년 북쪽지방에서 유행했던 성홍열에 대해 매우 면밀한 관찰결과를 보고했는데 이는 성홍열에 대한 동아시아 지역의 첫 연구”라고 밝혔다.
또 신 교수는 “허준은 두창, 온역(장티푸스 질환) 등 조선시대의 전염병에 대해 연구했으며 오늘날의 홍역에 해당하는 새로운 질병을 발견해 최초의 기록을 남겼다”고 평가했다. 허준의 연구는 현대 연구와 견줘도 손색이 없을 정도라는 것이다.
허준의 ‘동의보감’ 은 중국에서 30여 차례, 일본에서 2차례 출간되며 동아시아 의학의 교류에 크게 기여했다. 동의보감은 기존 의서와는 달리 대분류 방법을 통해 전체 의학 체계를 새롭게 분류했다.
신 교수는 “동의보감은 17세기 조선의 생명관, 신체관을 잘 확립한 사상서로 높이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그는 “허준은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고 솔직하고 과감하지만 깐깐한 면도 있었다”며 “소설이나 드라마의 다정하고 인자스러운 인상과는 거리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