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하는 침팬지 출현 논란

진정한 의사소통은 불가능

사람들 사이에서 자란 침팬지가 말하는 능력을 터득했다는 미국 연구팀의 주장과 이에 대한 논란이 영국 BBC방송과 데일리 텔레그래프 인터넷판이 1월 1일 보도했다.

미국 애틀랜타에 소재한 조지아주립대의 연구팀은 대학 구내에서 기르는 침팬지 ‘칸지’가 다양한 소리를 내는 모습을 비디오로 촬영한 1백시간 가량의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칸지가 주변에서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바나나, 포도, 주스, 예스(yes) 등 4가지 단어에 대해 각각 다른 독특한 소리를 냈다고 밝혔다. 칸지의 언어 훈련사인 제리드 태글리앨라테나 박사는 칸지에게 말을 가르친 적이 없으며, 칸지가 스스로 깨달은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칸지는 다른 영장류가 받는 훈련처럼 특정 상징물을 팔로 가리키는 언어 훈련을 받아오던 중 특정 사물을 지칭하기 위해 칸지가 독특한 소리를 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칸지가 소리를 내는 순간의 감정이 어떤 법칙을 따르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면서도 “칸지가 함께 지내는 사람들의 말을 흉내냈는지에 대한 여부도 추가로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사실로 입증된다면 ‘동물은 말을 만들어낼 수 없다’는 지금까지의 믿음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어서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하지만 칸지가‘언어’로 정의할 수 있는 음절의 소리를 냈다고 말하기에는 논란의 소지가 많다. 설사 침팬지가 말을 했다고 하더라도 다른 침팬지가 그 소리에 반응하지 않는다면 언어를 통한 진정한 의사소통이라고 인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침팬지가 말하는 능력을 터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3년 02월 과학동아 정보

  • 동아사이언스 편집부

🎓️ 진로 추천

  • 심리학
  • 언어학
  • 문화인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