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단어를 입력한다

글자조합 방식의 신개념 스크린 키보드

“카메라가 안구의 움직임을 기록해 컴퓨터 화면에 즉시 그 움직임을 재현할 겁니다. 마르탱씨가 안구를 움직일 때마다 카메라가 그것을 감지해서 신호를 전달하면 그 신호에 따라서 화면의 포인터가 이동하는 것이지요.”

최근 베스트셀러 반열에 오른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장편소설 ‘뇌’에는 새로운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바로 눈을 이용해 글자를 입력하는 장치다. 스크린 상에 나타나는 단어를 응시하면 카메라가 안구의 움직임을 추적함으로써 자동으로 글자가 입력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스크린 키보드’의 개념은 소설뿐만 아니라 현실에도 이미 등장해 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 연구소의 데이비드 워드 박사와 데이비드 맥케이 박사는 기존의 개념에서 한단계 발전한 스크린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네이처’ 8월 2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손으로 자판을 두드려 글자를 입력하는 키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의 움직임과 카메라, 그리고 글자조합 키보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빠르고 간편하게 자료를 입력할 수 있는 스크린 키보드 ‘대셔’(Dasher)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1분당 25단어 입력 가능

연구팀은 “기존의 스크린 키보드 소프트웨어가 알파벳 글자를 하나씩 응시해야 입력이 가능한데 반해, 이번에 개발된 대셔는 조합할 수 있는 단어를 미리 파악해 제공하는 ‘글자조합 기능’을 갖췄기 때문에 더 쉽고 빠르며 정확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셔를 이용해 눈으로 글자를 입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안구의 움직임을 포착할 수 있는 카메라가 필요하고, 사용자는 의자에 똑바로 앉아서 움직이지 않아야 한다. 스크린 키보드를 보면 세로 한줄로 알파벳 단어들과 기호가 표시돼 있고, 각 글자들은 각기 다른 글상자 속에 들어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글자를 바라본 후 이 글자를 화면의 왼쪽으로 끌어오면 오른쪽에서 다시 이 글자와 조합할 수 있는 다른 알파벳 글자들이 연속적으로 떠올라 다른 색깔의 글상자 속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Hello, how are you’라는 문장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가 스크린 키보드의 ‘H’를 바라보면 소프트웨어가 자체 언어 모델 프로그램을 가동해 ‘a’ ‘e’ ‘i’ ‘o’ ‘u’처럼 함께 조합할 수 있는 글자와 쌍을 이룬 ‘Ha, He, Hi’ 등이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다. 여기서 맞는 조합을 선택하면 다시 ‘ello’ 등과 같이 조합 가능한 글자들이 화면에 뜨도록 프로그래밍돼 있다. 이 글자들이 화면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단어를 이루게 되고, 최종적으로 원하는 문장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대셔는 다음에 필요한 글자들을 예상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나오는 알파벳 글자들은 사용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글자의 조합이나 단어다.

연구팀은 처음 사용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스크린 키보드 방식과 대셔를 이용한 문장입력 실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기존의 스크린 키보드 방식을 사용하면 1분에 평균 15개의 단어를 입력할 수 있었지만, 대셔를 사용할 경우 1분에 25개의 단어까지 입력할 수 있었다.
 

안구의 움직임과 글자조합 가능이 결합돼 눈으로 단어를 입력하는 신개념 스크린 키보드가 개 발됐다.



오타빈도 기존의 1/5

연구팀의 데이비드 맥케이 박사는 “대셔를 사용하면 장애가 있거나 손으로 직접 글자를 적기 어려운 사람들이라도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e메일을 보내거나 워드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연구팀에 따르면 대셔는 안구 스캐닝 방식이 아니라 마우스를 이용해서도 단어조합 입력을 할 수 있으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도 펜을 이용해 쉽게 글자를 입력할 수 있다.

맥케이 박사는“대셔는 입력속도가 빠를 뿐만 아니라 오타빈도를 기존의 스크린 키보드의 5분의 1로 줄일 수 있는 편리하고도 정확한 소프트웨어”라고 말했다. 문명의 이기인 각종 인터페이스 장치가 가져올 변화의 끝은 과연 어디까지일까.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2년 09월 과학동아 정보

  • 장미경 기자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