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츠버그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여성이 담배를 피울 경우 폐의 표면 세포에 있는 가스트린분비 펩타이드 수용체(GRPR)유전자가 잘 발현된다고 한다.GRPR은 폐암의 세포 분열을 촉발시키는 것으로,호르몬인 가스트린 분비 펩타이드에 영향받는다.그리고 니코틴은 폐세포의 GRPR유전자 발현을 촉진시킨다.
이것은 여성이 남성보다 담배를 적게 피워도 더 쉽게, 더 일찍 폐암에 걸릴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 10대 소녀들에게 담배를 끊도록 말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도 된다. 58명의 폐암 환자를 포함해 정상적인 여성 38명, 남성 40명의 폐 조직을 검사한 결과, 비흡연자의 55%, 그리고 담배를 피우는 여성의 75%는 GRPR 유전자가 발현됐다. 이와 대조적으로 남성 중 비흡연자는 아무도 GRPR 유전자가 발현되지 않았고, 남성 흡연자 중에서도 GRPR 유전자가 발현된 경우는 20%에 불과했다.
GRPR 유전자 발현이 성별에 따라 차이나는 것은 이 유전자가 X염색체에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남성은 니코틴이 유도할 수 있는 유전자가 하나뿐이지만 여성은 두 개나 돼 암에 걸릴 위험이 높을 수도 있다는 말이다. 또는 여성의 GRPR 유전자가 니코틴에 노출되기도 전에 만성적으로 활성을 띠고 있을 수도 있다. 사실 이 두 가지 메커니즘이 모두 가능하다. 아직 간접 흡연에 의한 위험 정도는 측정되지 않았지만, 곧 간접흡연에 의한 GRPR 유전자 발현도 밝혀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