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절로 물을 빨아올리고 다시 버리는 과정을 반복하는 '물 마시는 새'를 만들어 보자.
왜그럴까?
물은 모세관현상 때문에 가는 유리관으르 따라 이동하고,중력의 차이에 의한 사이펀 원리에 의해 계속해서 물이 아래로 내려온다.모세관이 가늘수록 물은 더 높이 올라가지만 흡수되는 양이 적어서 물이 탁구공에 담겼다가 흘려보내는 동작주기가 길어진다.
용어설명
모세관현상 액체속에 가느다란 관을 세우면 관 안쪽의 수면이 관 바깥쪽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액체와 모세관 사이의 인력이 액체 분자간의 인력보다 크면 올라가고,작으면 내려간다.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높은 곳까지 올릴 수 있는 것도 모세관 현상과 증산 작용에 의한 것이다.
사이펀 원리 중력에 의한 액체의 위치에너지 차이와 액체 분자간의 인력으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연속해 끌어내릴 수 있는 원리다.
왜그럴까?
물은 모세관현상 때문에 가는 유리관으르 따라 이동하고,중력의 차이에 의한 사이펀 원리에 의해 계속해서 물이 아래로 내려온다.모세관이 가늘수록 물은 더 높이 올라가지만 흡수되는 양이 적어서 물이 탁구공에 담겼다가 흘려보내는 동작주기가 길어진다.
용어설명
모세관현상 액체속에 가느다란 관을 세우면 관 안쪽의 수면이 관 바깥쪽보다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현상을 말한다.액체와 모세관 사이의 인력이 액체 분자간의 인력보다 크면 올라가고,작으면 내려간다.식물이 뿌리에서 흡수한 물을 높은 곳까지 올릴 수 있는 것도 모세관 현상과 증산 작용에 의한 것이다.
사이펀 원리 중력에 의한 액체의 위치에너지 차이와 액체 분자간의 인력으로 높은 곳의 물을 낮은 곳으로 연속해 끌어내릴 수 있는 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