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3. 올 중반 등장할 윈도 98

인터넷TV를 실현시킨다

 

윈도 98은 웹사이트를 자신의 하드 드라이브처럼 검색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철저하게 운영체제와 브라우저를 합쳐 놓은 것이다.


멤피스(Memphis)라는 개발 코드명으로 알려진 윈도95의 다음 버전인 윈도98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PC 사용 환경을 바꾸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수많은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졌듯이 윈도98의 가장 큰 특징은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운영체제 내에 통합시켰다는 점이다. 따라서 컴퓨터 사용자는 하드디스크의 파일을 보는 것처럼 인터넷 홈페이지를 검색할 수 있게 됐다.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내 하드디스크에 있는 것처럼 찾아볼 수 있게 됐다는 말이다.

더욱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채널 기능을 이용하면 마치 TV를 보듯이 인터넷 채널을 볼 수 있다. 소위 말하는 '푸시' 기능을 채택해 인터넷 사용자들은 굳이 인터넷을 돌아다니지 않고도 특정 사이트에서 보내오는 정보를 배달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정도만으로도 인터넷 검색 환경은 크게 달라진다.

그러나 이것은 윈도98의 특징이라기 보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의 특징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실제로 이미 공개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최근 4.0 버전의 버그와 단점을 수정한 4.01 버전이 발표됐다)을 윈도95에 설치하면 겉모습만으로는 윈도98과 윈도95를 구분할 수 없다.

때문에 몇몇 언론에서는 윈도95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을 설치하면 윈도98이라는 어설픈 주장을 펴기도 했다. 겉모습만 보면 그렇다. 실제로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은 운영체제의 일부 기능을 향상시켜주기 때문에 윈도95에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처음 설치한 사람들은 달라진 기능 때문에 오히려 어색해 할 정도.

하지만 내부적으로 윈도98은 윈도95와 다르다. 무엇보다도 가장 큰 특징은 윈도 운영체제와 인터넷을 완전히 통합시켰다는 데서 찾아볼 수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4.0이 단지 브라우저를 운영체제 안에 집어넣었다고 한다면 윈도98은 인터넷을 끌어안았다고 볼 수 있다.

윈도98은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가 몇 가지 버튼만 누르면 자기 자신을 스스로 체크해 업데이트된 파일을 자동으로 다운로드한다. 또한 사용법을 알려주는 도움말 기능 역시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홈페이지와 연결돼 있어 이곳에 있는 수많은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할 수 있게 해준다. 검색 기능 역시 인터넷과 곧바로 연결된다.

국내에서는 아직 검토단계이지만 미국에서는 이미 인터캐스트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가 제공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윈도98에는 50MB나 되는 TV 관련 프로그램이 내장됐다. 이를 이용하면 채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진짜 TV를 보는 것처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검토중이기는 하지만 아쉽게도 국내에서는 이 서비스를 받을 가능성이 별로 없어 보인다.
 

윈도 98은 웹사이트를 자신의 하드 드라이브처럼 검색할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 철저하게 운영체제와 브라우저를 합쳐 놓은 것이다.


이외에도 윈도98은 PPP 프로토콜의 기능을 향상시킨 PPTP 프로토콜을 내장했고, 전화접속 네트워킹 기능을 더 편리하게 수정했으며 다양한 인터넷 프로그램을 묶어 제공한다. 한편 미국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인터넷 익스플로러 끼워 팔기가 독점급지법 위반으로 제소당해 위법성이 인정됐다고 하니, 윈도98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끼워넣기가 어떤 식으로 변할지는 좀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

어쨌든 윈도98은 다음 몇 가지 면에서 인터네 사용 환경에 변화를 줄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TV 프로그램과 채널 서비스 기능을 지원함으로 인터넷과 TV를 통합시키는 첫번째 시도를 하게 됐다. 이미 TV와 컴퓨터, 인터넷이 어떤 형태로든 통합될 것이라는데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결과가 어떻게 되던 윈도98은 그 첫걸음을 내딛은 셈이다.

또한 운영체제와 인터넷을 통합해 인터넷 사용 범위를 넓혔다. 단순히 정보를 찾는 수준에서 컴퓨터 기능을 유지, 보수하는 용도로 쓸 수 있게 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무시할 수 없는 점은 윈도98의 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들이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

윈도98의 출시 시기는 98년 2/4분기 중으로 알려져 있으며, 97년 12월 현재 영문판 기준으로 빌드 넘버 1650버전이 나와 있는 상태. 한글판 베타 버전은 1602버전까지 나와 있다. 여기서 1650이나 1602 같은 빌드 넘버(Build Number)란 윈도98의 소스(Source)를 컴파일한 횟수를 말하므로 수치가 높을수록 최신 버전이다.

한편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98이라는 이름과 98년 중 발표된다는 원칙만 공개했지 그외에 판매 가격이나 정확한 발표 날짜 등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언급한 바 없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8년 01월 과학동아 정보

  • 김형덕 기자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정보·통신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