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말머리 성운과 그 주변


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vixen 200㎜(f4),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40분
오리온 자리의 제타 별에서 남서쪽으로 0.5˚쯤 떨어진 곳에는 모두 밤하늘에서 가장 유명한 암흑성운인 말머리성운(Horsehead Nebula)과 이 암흑성운을 둘러싸고 있는 발광성운 IC 434가 있다. 이 암흑성운은 무척 어두워서 사진속에서만 그 멋진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제타 별 옆에 보이는 밝은 성운은 NGC 2024로 불리는 발광성운이다.

① 나선 은하(M 33)
 

나선 은하(M 33)


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vixen 200㎜(f4),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10분
우리 국부 은하군에서 우리 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 다음으로 큰 '바람개비' 모양의 은하이다. 이것은 무척 크지만(보름달 정도) 그 밝기는 매우 희미한 편이다. 그러나 아주 맑고 어두운 밤하늘이라면 쌍안경이나 저배율의 작은 망원경으로도 충분히 찾을 수 있다.

② 큰곰자리의 산개성단(M 41)
 

큰곰자리의 산개성단(M 41)


1994.12.3 강원도 춘천군 신북면 vixen 200㎜(f4),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15분
시리우스 남쪽에 있는 매우 밝은 산개성단으로 25개 정도의 밝은 별을 가지고 있다. 맨눈으로도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쌍안경이나 작은 망원경으로도 멋진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 망원경 속에서는 전체적으로 밝은 별들이 나비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③ 보름달
 

보름달


1995.1.16 서울대학교 교내 vixen ED 130㎜, Pentax ME super, 필름 velvia 50, EM 200 1/120초
보름달은 해가 지고 난 후 동쪽 하늘에 보이기 시작하며 자정 무렵 남중한다. 그 시간쯤이면 고도도 높아지고 빛줄기를 가진 멋진 크레이터들을 볼 수 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티코와 코페르니쿠스다. 검게 보이는 부분은 고도가 낮아서 바다로 불리는 지형으로 전체적으로 토끼의 모습을 하고 있다. 보름달은 무척 밝기 때문에 망원경으로 관측할 때는 필터를 쓰는 것이 좋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5년 03월 과학동아 정보

  • 이태형 사무처장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