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광견병바이러스
 

전자 현미경이 만들어지기까지 인간은 바이러스를 볼 수 없었다. 그 최초의 모습을 본것이 1938년. 막 개발된 전자현미경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본 게 처음이다. 그 이래 인간이 본 바이러스는 1천종을 넘는다. 현미경안에서 작은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세계를 소개한다.
 

B형간염 바이러스의 전자현미경 사진

헤르페스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들어가는 모습

 

헤르페스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들어가는 모습

① 바이러스 외피가 플라즈마막에 부착된다.
② 바이러스 주변에 소포가 형성된다.
③ 껍질이 벗겨진 캡시드가 소포로부터 세포의 세포질로 들어간다.
④ 핵산의 중심만이 남는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94년 02월 과학동아 정보

  • 자료출처

    차창룡 교수
  • 자료출처

    서주영 교수
  • 자료출처

    노현모 교수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전자공학
  • 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