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 현미경이 만들어지기까지 인간은 바이러스를 볼 수 없었다. 그 최초의 모습을 본것이 1938년. 막 개발된 전자현미경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본 게 처음이다. 그 이래 인간이 본 바이러스는 1천종을 넘는다. 현미경안에서 작은 우주를 형성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세계를 소개한다.
헤르페스바이러스가 동물세포에 들어가는 모습
① 바이러스 외피가 플라즈마막에 부착된다.
② 바이러스 주변에 소포가 형성된다.
③ 껍질이 벗겨진 캡시드가 소포로부터 세포의 세포질로 들어간다.
④ 핵산의 중심만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