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3차원 입체영상, 홀로그래피 과학·산업·예술에 응용

기초학문인 물리학에서 탄생해 각종 산업 및 전시회, 예술분야에 까지 널리 활용되는 홀로그래피란 무엇인가.

3차원 입체영상을 재현해낼 수 있는 홀로그래피 기술이 요즘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공학(理工学) 전문가들에게는 레이저의 응용범위를 넓혀준 신기술로, 예술가들에게는 새로운 예술표현 양식으로, 일반인들에게는 실생활에 다양하게 응용되는 흥미로운 분야로 각광받고 있다.

'완전한(holo)그림(graphy)'이라는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홀로그래피의 뜻은 사물의 3차원 시각정보를 완벽하게 기록했다가 그대로 재생하는 기술.

문화예술전시회를 개최한다고 할 때, 우리나라 국보1호인 남대문을 영국의 런던데 실물전시할 수는 없는 일. 남대문의 입체영상을 기록한 홀로그램건판을 제작해 영국으로 가져가 그대로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홀로그래피기술이다.

원리는 매우 간단하다. 물체로부터 반사돼 나오는 빛의 파동을 홀로그래피용 사진건판에 기록했다가 후에 레이저장치를 이용, 그대로 재생하는 것이다. 일반 사진이 빛의 파동과 진폭만을 기록한다면 홀로그래피용 사진건팡은 여기에 빛의 위상(位相, phase)까지 함께 기록하는 것이다. 파동이나 진폭이 물체의 색이나 명암을 나타낸다면 위상정보는 물체의 입체감을 표현해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홀로그래피가 처음 선을 보인 것은 1940년대 후반이지만, 레이저와 같은 간섭성이 좋은 광원이 없었기 때문에 복원된 재생상이 잡음이 심하고 상이 서로 겹쳐 별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1960년대 초반 레이저가 출현함으로써 홀로그래피는 새로운 전기를 맞았다.

홀로그래피는 일상생활 산업분야 예술분야에 이르기까지 점차 그 응용역역을 넓혀나가고 있다. 가장 손쉽게 접할 수 있은 홀로그래피 응용품은 위조를 방지하기 위해 신용카드에 붙어있는 홀로그램 실. 이의 응용품으로 광고장식용 홀로그램스티커, 홀로그램연하장 등이 있다. 이는 완전한 입체영상은 아니지만 홀로그래피 영상을 부분적으로 평면에 실현시킨 것이다.

그 다음이 홀로그래피 전시회. 첨단전시회에 가면 안내로봇 등을 홀로그래피 영상으로 실현시켜, 사라졌다가 다시 나타나게 하는 등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자아내개 한다. 본격적인 홀로그래피 활용 전시회는 앞에서 잠깐 언급했던 쉽게 옮겨놓기 어려운 건축물 및 유물전시회. 여기에 입체영상의 사진건판을 만들 때 조명이나 여타 조건을 조금씩 변형 시키면 실물과는 또다른 색감이나 분위기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특히 이는 첨단체품 산업전시회에서 더욱 빛을 낸다. 즉 새로운 자동차를 실물만 덩그러니 가져다 놓은 것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다. 한 종류의 실물을 조명이나 각도에 따라 여러가지 색이나 형태로 표현해낼 수 있는 특성이 홀로그래피기술이 예술적 표현의 한수단으로 발전할 수 있는 근거이다.


홀로그래피 영상


●-예술보다는 산업적 응용이 앞서


홀로그래피 영상


홀로그래피의 미래는 정보산업에서 판가름 날 것으로 예상하는 사람이 많다. 엄밀한 의미에서 이것도 일종의 정보를 기억했다 재생하는 기술이기 때문. 정보의 기록밀도가 다른것과 비교해 매우 높다. 특히 홀로그래피에 의해 기록되는 정보들은 공간적으로 서로 상관관계를 갖기 때문에 비록 정보 일부가 손상되었다. 하더라도 나머지 정보를 조합, 없어진 정보를 재생시킬 수 있다.

홀로그래피에 의해 재생된 영상은 조금만 흔들려도 제대로 촛점이 잡히지 않는다. 즉 잡음 및 주의여건에 매우 예민하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 미세한 변화를 감지해내야 하는 지각변동감지시스팀에 활용된다. 앞으로 지진예측은 홀로그래피기술이 전담 가능하다.

홀로그래피의 응용은 한정돼 있지 않다. 기초물리, 각종 산업및 의학에서의 활용, 예술분야와의 접목 등 무한한 응용영역을 갖추고 있다는 것 자체가 매우 흥미롭고 재생상에 여러가지 변화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기초학문인 물리학에서 탄생했지만 여러 분야에 활용되는 것이다.

1988년 11월 과학동아 정보

  • 최달수

🎓️ 진로 추천

  • 물리학
  • 컴퓨터공학
  • 미술·디자인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