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의 균형팽창설 부정 태양계,은하계 빠른 속도로 어딘가로 끌려가고 있다

우주의 모든 별과 성운은 인력에 의해 제각기 한쪽 방향으로 질주하고 있다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계를 포함한 무수한 성운들이 초당 4백마일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고 있다는 학설이 나와 우주물리학계에 비상한 충격을 주고 있다.

별명으로 '7명의 사무라이'라고 불리우는 미국과 영국의 천문학자7 명이 주장하는 이 학설은 '우주는 균일하게 팽창하고 있으며 다만 우주안에서 부분적인 운동만이 있을뿐'이라는 이제까지의 통설을 뒤엎는것으로 천문학계에 놀라움과 흥분 그리고 설마그럴까하는 회의를 불러 일으키고 있다.

미발견의 거대 천체에 의해?

그럼 이 학설이 주장하는대로 성운들이 이동하고 있다면 그 힘은 어디에서 생겨 나는것일까. 학자들은 그것을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는 어떤 거대한 천체덩어리의 인력에 의한것같다고 말한다.

캘리포니아에있는'마운트 윌슨' 천문대의 '드레슬러'박사는 "우리의 관찰로는 이제까지 상상도 못했던 거대한 천체구조가 많이존재하는것같다. 계속 관찰할수록 보다 많은 천체가 있음을 느끼게 해준다"고 털어놓았다.

'드레슬러'박사는 7명의 사무라이중 한 명이다. 이들 7명은 자기네끼리 회합을 갖고'성운 이동설'을 정리했으며 이들의 주장은 87년 1월중에 열리는 시카코의 우주물리학회의에서 가장 뜨거운 논쟁거리가 될것이 틀림없다.

성운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고

성운사이의 거리는 점점 멀어지며 이것은 우주에 있어서 지배적인 운동양상이며 대폭발이후 계속 되어온것이다.
지구에서 본다면 성운(은하)들은 멀어질수록 작아지는것이다.

아인슈타인이후 우주에서의 운동은 모두 상대적인것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최근10여년동안 천문학자들은 지구의 특수한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게되었다. 즉 우주의 일반적인 팽창에 의한 운동아닌 지구만의 독자적인 운동을 측정했다는것이다.
학자들은 모든 방향에서 하늘을 가득채우고 있는 약한 방사능을 이용했다.

이 마이크로웨이브는 빅뱅에서 생겨난 방사능으로 여겨졌다.
70년대에 U-2기와 고공에 띄운 기구(氣球)를 사용해 이 방사능의 파장이 한쪽방향에서는 약간 높고 다른 방향에서는 약간 낮은것을 알게됐으며 이것은 지구의 운동방향과 그 속도를 측정할수 있는 최초의 기회가 되었다.

지구와 태양계자체의 운동

그런데 놀라왔던것은 지구의 운동속도가 대단히 빠르다는것. 학자들은 이런 현상을 설명할수있는 유일한 방법은 인력작용밖에 없다고 말한다. 태양의 인력에 의한 지구의 공전속도는 초당 19마일밖에 안된다. 그런데 태양을 포함해 지구 화성등 태양계의 별전체를 잡아끄는 인력에 의한 속도는 초당 2백마일이나 된다. 즉 2백마일의 속도로 태양계는 은하계를 관통하고 있는중이다.

또한 우리의 은하계 전체가 우주속으로 달려가는 속도는 이보다 배나 빠른 초당 4백마일이 된다. 이런 빠른속도는 근접한 다른 은하(성운)의 인력에 의한것이라고는 생각할수 없다. 어떤 거대한, 우리가 알지못하는 물체의 인력에 의한것이라고밖에 볼수없다는것이다.


우주에서의 대질주운동^수백개의 성운을 관찰한 결과 이들은 초당 400마일의 빠른속도로 달리고 있다. 지구와 태양계를 포함한 모든 성운은 아직 알수 없는 거대성운의 인력에 의해 끌려가고 있는것 같다.
 

태양계는 「비르고 성운」으로 끌려가고있다

그럼 도대체 태양계는 어디로 향해 질주하고 있을까. 태양계는 속해있는 은하계와 함께 비르고(Virgo) 성운으로 달리고(끌려가고)있다고 학자들은 말하고있다. 그리고 비르고 성운은 더욱 거대한 성운인 하이드라-센타루스(Hydra-Centaurus)성운으로 끌려가고 있다는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정리해 본다면 우주의 모든 별은 보다 큰것으로, 큰것은 작은 성운으로, 작은 성운은 큰 성운으로 끌려가고 있다는것이되며 우리가 제자리에 박혀있다고 생각하는 항성(恒星)은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것이다. 다만 행성과 같은 주기운동을 하지 않을뿐 한쪽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는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다만 앞서말한 태양계의 운동속도나 은하계의 은하속도에 대해서는 이론(異論)이 적지않다.
확고한 증명이 아직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은하계의 운동속도 4백마일도 마이크로웨이브를 준거로 삼은 것인데 이같은 방식에대해 의문을 나타내는 사람도 적지않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1987년 01월 과학동아 정보

  • 뉴욕타임즈-본지특약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