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2006년 8월, 이전까지 행성으로 인정됐던 명왕성이 지위를 박탈당했다.
국제천문연맹(IAU)은 명왕성을 왜행성으로 분류하며, 나머지 여덟 개만 태양계의 행성으로 인정했다. 그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지난 1월, 미국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지질·행성학과의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태양으로부터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발견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도록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
연구팀은 망원경으로도 보기 힘들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가 공전하는 궤도를 어떻게 알아냈을까? 또 플래닛 나인은 과연 아홉 번째 행성이 될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

2016년 06월 수학동아 정보

  • 이정아 기자
  • 기타

    [도움 및 논문] ‘La relativite′ ge′ne′rale et la spirale infernale des e′toiles binaires compactes‘, ‘Evidence for a distant giant planet in the solar system’,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지질·행성학과 홈페이지(www.gps.caltech.edu), 미국 조지아주립대 물리천문학과 홈페이지(hyperphysics.phy-astr.gsu.edu)
  • 기타

    [도움 및 논문] 김영진(과학동아천문대 천문대장)
  • 일러스트

    이창우

🎓️ 진로 추천

  • 천문학
  • 물리학
  • 지구과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