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와인 맛있게 즐기는 수학적인 방법

가장 맛있는 와인을 만드는 잔 돌리기 방법이 있을까?

최근 스위스 로잔 폴리테크니크 연합학교 연구팀은 와인잔을 흔들었을 때 생기는 물결이 와인의 맛을 결정한다고 생각하고 실험을 진행했다.

와인잔의 크기와 와인의 양, 회전 속도를 달리해 와인잔을 돌린 다음, 이 결과를 바탕으로 와인을 흔들었을 때 와인이 찰랑거리는 모양을 설명할 수 있는 함수를 만들었다. 이들이 만든 함수식은 ‘(와인의 진동 횟수)²×와인잔의 지름÷중력’이다. 와인의 양은 중력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어 연구팀은 함수의 세 변수를 변화시키며 와인잔을 돌리고, 와인 전문가들에게 맛을 측정하게 했다. 그 결과 세 변수의 값과 상관없이 함숫값이 0.6일 때 와인이 가장 맛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숫값이 같으면 와인을 흔들었을 때 생기는 물결도 같은 모양이다.

이번 연구에 대해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성형진 교수는 “사람들이 와인잔에 따르는 와인의 양은 거의 비슷하다”며, “와인의 진동횟수와 와인 잔의 크기, 이 두 가지 요소만 잘 조절하면 맛있는 와인을 먹을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와인잔의 지름이 크면 와인 잔을 적게 흔들고, 작으면 많이 흔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2년 01월 수학동아 정보

  • 조가현
  • 권민정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식품학·식품공학
  • 기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