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운? 구름 이름 같지만 성운은 우주에 있다는 사실! 뼈와 근육이 자라고, 체온을 유지하는 데 호르몬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알고 있니? 성운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호르몬을 분비하는 신체 기관까지 나, 일리와 함께 알아보자!
우주의 별과 별 사이 공간은 성간 물질로 가득 차 있어요. 성간 물질은 작은 얼음 결정이나 먼지, 수소와 헬륨 같은 기체를 통틀어 말해요. 이러한 성간 물질들이 뭉치면 구름처럼 보이는 성운이 됩니다.
성운은 빛을 내는 방식에 따라 발광성운과 반사성운, 암흑성운으로 나뉘어요. 발광성운은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이에요. 성운에 들어 있는 수소 입자가 주변의 어린 별이 내뿜는 강한 자외선을 만나 이온화하면, 선명한 붉은 빛을 냅니다. 이온화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 단위인 원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 원자의 성질이 바뀌는 현상이에요. 대표적인 발광성운으로는 오리온성운이 있지요.
반사성운은 별빛이 성운 속 먼지 입자에 반사되어 마치 성운이 빛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예요. 주로 푸른 빛을 띠죠. 암흑성운은 스스로 빛을 내지도, 주변 빛을 반사하지도 않아 검은 그림자처럼 보이는 성운이에요. 플레이아데스 성운은 반사성운, 말머리성운은 암흑성운으로 분류됩니다.
우리나라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동 개발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는 지난 5월 8일, 대마젤란은하 근처에서 성운 사진을 촬영해 보내왔어요. 스피어엑스가 찍은 성운 등 우주 사진을 분석한다면 우주의 기원과 구성하는 물질 등을 파악할 수 있답니다.


호르몬은 신체의 대사●와 성장, 감정 조절 등에 관여하는 화학 물질이에요. ‘자극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호르마오(hormao)’에서 유래했지요. 호르몬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갑상샘 등에서 분비된 뒤 혈관을 타고 몸속에 퍼져요.
뇌 중심부에 있는 시상하부는 그 아래에 있는 뇌하수체를 자극하는 방출 호르몬을 분비해요. 방출 호르몬은 특정 호르몬이 분비되도록 자극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은 뇌하수체가 갑상샘자극호르몬을 분비하도록 해요. 뇌하수체는 방출 호르몬의 신호를 받아 갑상샘과 췌장, 부신 등이 호르몬을 분비하거나 억제하도록 조절하지요.
뇌하수체는 신체의 성장과 발달을 자극하는 성장 호르몬도 분비해요. 성장 호르몬은 뼈와 근육을 자라게 해 신체의 최종 크기를 결정하고, 지방이 에너지로 쓰이도록 간에서 지방을 분해해요. 주로 유년기부터 분비량이 늘어나 사춘기에 최고치로 분비되다가 성인이 되면 성장 호르몬의 농도가 줄어듭니다.
이 외에도 목 근처에 있는 갑상샘은 체온과 대사를 조절하는 티록신을, 췌장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을 분비해요. 콩팥에 붙은 부신은 신체를 활성화하는 아드레날린 등을 내뿜죠. 남성의 고환, 여성의 난소는 각각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젠을 분비해 2차 성징과 생식 기능에 관여한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