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요기사]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이진수, 치태

1101001… 0과 1로 가득한 비밀 편지를 받은 일리. 과연 무슨 말을 전하려는 걸까? 컴퓨터 세계의 언어인 이진수를 뜯어 봤어!

 

 

컴퓨터는 0과 1 두 개의 숫자로 정보를 저장하고 전달해요. 이렇게 0과 1만으로 수를 표현하는 방법을 이진수라고 합니다. 컴퓨터가 이진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기 신호의 특성 때문이에요. 컴퓨터는 입력된 문자나 숫자,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저장하는데, 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1, 안 들어오면 0으로 구분하거든요. 

 

이진수는 17세기 독일의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가 처음 발명했어요. 라이프니츠는 중국의 종교 책 중 하나인 <주역>의 64괘를 보고 이진수를 떠올렸습니다. 괘는 일자로 이어진 선인 ‘양’과 가운데가 끊어진 선인 ‘음’을 조합해 만든 글자예요. 라이프니츠는 음을 0, 양을 1로 바꾸어 이진수를 발명했지요. 이후 1948년, 미국의 수학자 클로드 섀넌은 컴퓨터가 이진수를 이용해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어요.

 

이진수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돼요. TV는 리모컨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빛을 전기 신호로 바꿔요. 이때 전기 신호는 0과 1로 된 이진수의 조합으로 표현돼요. 신용카드 뒷면의 검은색 자석 띠도 이진수로 카드의 정보를 저장한답니다.

 

 

 

치태는 치아 표면에 생기는 끈적끈적하고 투명한 막이에요. 손톱으로 치아 표면을 긁으면 나오는 하얀 덩어리가 바로 치태죠. 치태는 입안에 살고 있는 수많은 세균이 음식물 찌꺼기와 섞이며 치아 표면에 달라붙은 물질이에요. 치태에는 약 200종 이상의 세균이 수십억 개 살고 있어요.  

 

치태 내부의 세균들은 음식물을 섭취한 뒤 입안에 남아 있는 당을 분해해 산성 물질을 만들어 내요. 이 산성 물질은 치아 표면을 둘러싸는 조직인 법랑질을 녹여 충치를 일으켜요. 또, 치태의 세균들이 만들어내는 독소는 잇몸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치아 표면에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은 치태는 양치질로 쉽게 없앨 수 있어요. 하지만 치태가 24시간 이상 남아 있으면 침 속 칼슘, 인 성분과 결합해 단단하게 굳어져 치석으로 변합니다. 치석은 치과에서 스케일링 같은 치료를 통해 제거해야 해요. 따라서 치태가 치석으로 굳어지기 전에 칫솔질로 구석구석 치태를 없애는 게 좋답니다.

 

칫솔 대신 마이크로로봇으로 치태를 제거하는 기술도 등장했어요. 2022년,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연구팀은 마이크로로봇이 자기장의 힘을 이용해 양치질에 적합한 모양으로 변신하고, 화학 물질을 활용해 효과적으로 치태를 제거한다는 점을 실험을 통해 밝혀냈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4년 6월 1일 어린이과학동아(11호) 정보

  • 배하진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물리학
  • 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