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줄게요!

 

 

Q 마시멜로는 어떻게 만드나요? 

강명숙 
(ddansory3)

 마시멜로는 스펀지처럼 폭신한 식감의 사탕이에요. 녹말로 만든 옥수수 시럽과 설탕, 그리고 젤라틴으로 만들 수 있어요.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이나 힘줄, 뼈에서 얻을 수 있는 단백질인 ‘콜라겐’에 열을 가해 만든 물질이에요. 콜라겐은 단백질 나선들이 꼬여져 있는 구조인데, 열을 가해 이 나선들이 풀리면서 젤라틴이 만들어져요. 젤라틴을 찬 물에 넣으면 단백질 나선들이 다시 뭉치면서 엉켜서 단단하고 쫀득한 식감이 만들어집니다. 탄성력●이 생긴 거죠. 이 과정에서 공기를 넣으면 젤라틴이 부풀면서 폭신해져요.

 

 


설탕과 옥수수 시럽을 약 120℃로 녹여 찬 물에 담가 두었던 젤라틴에 넣으면 달콤한 마시멜로가 완성! 설탕은 고체 결정으로 굳는 성질이 있고, 옥수수 시럽은 고체 결정이 생기는 것을 막아주는 성질이 있어요. 설탕이 많이 들어갈수록 결정이 많아져 과자처럼 바삭바삭한 식감의 마시멜로가 만들어지고, 옥수수 시럽이 많이 들어갈수록 폭신한 식감의 마시멜로가 만들어지죠. 젤라틴은 녹는점이 약 35℃로 체온보다 살짝 낮아서 마시멜로를 입에 넣으면 사르르 녹는답니다.

 

●탄성력: 물체가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성질.

 

Q 바닷물은 왜 짠가요?

김민주
(ednakim)

A 바닷물이 짠 이유는 바닷물의 약 3.5%가 짠맛을 내는 염화나트륨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에요. 염화나트륨은 염소와 나트륨의 화합물로 육지와 해저의 암석에서 녹아 나와 바다로 흘러들어와요. 

 

 


육지의 암석에 있던 염화나트륨은 빗물에 의해 녹아 나온 거예요. 하늘에서 내리는 비에는 탄산 성분이 포함돼 있는데, 이 탄산이 암석에 닿으면 화학 반응이 일어나 염화나트륨이 빗물에 녹아요. 녹은 염화나트륨은 강물을 지나 바다로 흘러가지요. 해저의 암석은 화산과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구멍인 열수분출공에 의해 데워진 물에 녹아 바다로 흘러가고요.


바닷물을 증발시키면 우리가 먹는 소금을 만들 수 있어요. 바닷물을 증발하는 시설인 염전에 바닷물을 끌고 와서 바람과 햇빛으로 수분을 날려버리면 소금의 주성분인 염화나트륨만 남게 되지요. 이렇게 만든 소금을 ‘천일염’이라고 합니다. 바닷물을 전기 분해해서 염소 이온과 나트륨 이온을 골라내 소금을 얻기도 하는데, 이를 ‘정제염’이라고 부른답니다.

 

Q 터치스크린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김현종 
(beardoctor)

A 터치스크린은 ‘저항막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있고, ‘정전용량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있습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화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생성되는 압력을 인식해 작동해요.

 

 

 

이 터치스크린 안에는 전기가 흐르는 금속 막 두 개가 살짝 띄워진 상태로 겹쳐 있는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화면을 누르면 이 두 막이 닿으면서 전기가 전달돼 압력이 감지된답니다. 이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약 10년 전에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의 핸드폰이 처음 출시되었을 때 많이 이용되었어요.


최근 스마트폰 화면으로 많이 이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주로 정전용량 방식으로 작동해요. 유리판 위에 전기가 흐르는 전극 층이 있어 화면에 손가락을 대면 전극에서 흐르던 전기가 손가락으로 이동해버려 이 전기 흐름의 변화가 인식되는 방식이지요. 이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화면을 누르지 않고 만지기만 해도 터치가 인식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장갑을 끼면 전기가 흐르지 않아 터치가 인식되지 않는 단점이 있습니다.

 

 

순식간에 답해줌!

Q. 어과동 만화연재 중 가장 길게 연재했던 만화는 무엇인가요?
유관민(gwanminryu)
A. 현재 어과동에서 연재하고 있는 만화 중에서 가장 오래 연재한 만화는 ‘야구왕 허슬기’예요. 2016년 9월 1일 자부터 지금까지 연재하고 있지요. ‘야구왕 허슬기’ 1화가 궁금한 독자들은 아래 QR로 확인해 보세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2년 16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장효빈 기자
  • 디자인

    최은영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물리학
  • 컴퓨터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