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편하게 누벼라! ‘자동 레일 설치기’ 만들기

 

 

마인크래프트에서 수레는 플레이어의 이동수단이에요. 레일 위에서 움직이기 때문에 플레이어가 특별히 조작할 필요도 없고 먼 곳까지 빨리 이동할 수 있어서 편리하지요. 
오늘은 코딩으로 레일을 간편하게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첫 번째 레일의 시작 위치 정하기

 

 

레일은 철길 모양의 동력 레일 아래에 ‘레드스톤’이라는 블록이 깔린 모습이에요. 마인크래프트의 광물 중 하나인 ‘레드스톤’은 전선의 역할을 하는 아이템이지요. 플레이어가 있는 곳 주변을 절대좌표로 저장해 이곳이 앞으로 건축할 레일의 시작점이 되도록 하고 철길의 위치를 변수 ‘레일위치’에, 레드스톤의 위치를 변수 ‘레드스톤위치’에 저장되도록 해볼게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0’으로 약속하세요.
➋ ‌‘변수-변수 만들기’를 눌러 ‘레드스톤위치’, ‘레일위치’라는 이름의 변수를 각각 만드세요.
➌ ‌‘변수-레드스톤위치에 저장’, ‘좌표-상대좌표’, ‘원점으로 만들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화면과 같이 작성하세요. 플레이어가 있는 곳보다 두 칸 아래의 절대좌표를 변수 ‘레드스톤위치’에 저장하는 코드예요. 
➍ ‌같은 방법으로 변수 ‘레일위치’의 값도 저장해 주세요. 레일은 레드스톤보다 한 칸 위, 즉 플레이어가 있는 곳보다 한 칸 아래에 놓여야 하므로 y좌푯값이 ‘-1’이에요.

 

 

두 번째 레일 코스 만들기 

‘선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이용해서 레일의 코스를 만들어 볼게요. 

 

 

 

➊ ‌레일을 x방향(동쪽 방향)으로 만든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채팅명령어를 ‘x’로 약속해요.
➋ ‌‘+’를 눌러 변수 ‘num1’을 추가하세요. ‘num1’은 레일의 길이를 의미하는 변수로 쓸게요.
➌ ‌‘모양-선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블록값을 ‘레드스톤’으로 바꾸세요. 
➍ ‌‘변수-레드스톤위치’를 가져와 시작 좌표에 넣으세요.
➎ ‌‘좌표-좌표 더하기’ 명령블록, ‘변수-레드스톤위치’, ‘변수-num1’, ‘월드좌표’ 명령블록을 가져와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x좌푯값에서 ‘num1’을 더한 만큼의 길이로 레일이 만들어져요.
➏ ‌같은 방법으로 블록 값은 ‘동력 레일’로, 변수는 ‘레일위치’로 바꾸어서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레일 블록은 아래에 블록이 없으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레드스톤을 먼저 설치한 거예요.
➐ ‌‘변수-레드스톤위치 저장’ 명령블록을 가져오세요. ➌에서 만들었던 레드스톤의 ‘선 모양 만들기’ 명력블록에서 끝좌표 값을 복사한 뒤 저장할 값에 넣으세요. 블록을 설치한 끝좌표가 새롭게 설치할 블록의 시작좌표가 돼요. 이전에 설치된 블록에 이어서 새로운 블록이 설치되며 레일이 만들어지는 거지요.
➑ ‌같은 방법으로 변수 ‘레일위치’의 새로운 좌푯값도 저장해주세요. 

 

 

 

➒ ‌이번에는 -x(서쪽) 방향으로 레일을 설치하는 코드를 작성해요. 앞서 작성한 코드를 그대로 복사해서 활용하면 편리해요. 먼저 채팅명령어를 ‘-x’로 약속하세요.
➓ ‌‘계산-곱하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끝좌표 x값에서 ‘-1’를 곱하는 식을 작성하세요. 
11 ‌같은 방법으로 채팅명령어와 끝좌푯값만 바꾸어서 z(북쪽), -z(남쪽) 방향으로 레일을 만드는 코드도 작성하세요. 각 블록의 월드 좌표는 아래와 같아요. 

 

 


12 ‌하늘 높이 올라가는 레일도 만들 수 있어요. 화면과 같이 y좌푯값에 변수 ‘num1’을 넣으면 위로 올라가는 코스가 만들어지지요. 같은 방법으로 변수 ‘num1’에 ‘-1’를 곱하는 식을 작성하면 지하로 코스로도 만들 수 있겠지요. 

 

 

 

세 번째 명령 실행하기

➊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세요. 레일을 만들 곳에서 두 칸 위로 이동하세요. 채팅명령어 ‘0’을 실행하여 레일의 시작점을 저장하세요.
➋ ‌시작점을 저장했으면 플레이어는 자유롭게 움직여도 괜찮아요. 레일이 설치될 방향과 길이를 생각하면서 채팅명령어를 입력해 보세요. 예를 들어 x방향으로 10칸 만들고 싶다면 ‘×10’이라고 입력하세요.

 

 

 

➌ ‌커브 구간은 직접 건축해야 해요. 동력 레일이 아닌 일반 레일을 설치해서 커브 구간을 완성하세요. 레일 위에 수레를 설치해 즐겨 보세요!

 

 


잠깐! 레일의 종류가 여러 개인데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일반 레일은 아무런 동력이 없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수레가 가다가 멈추기도 해요. 반면, 우리가 사용한 동력 레일은 레드스톤의 전기를 받아 작동하기 때문에 일반 레일보다 속도가 빠르고 오르막에서도 잘 올라가요. 다만 커브를 만들 수 없기 때문에 커브구간에서는 일반 레일로 바꾸어 주어야 해요. 이외에도 수레가 지나갈 때 레스드톤에게 신호를 보내주는 ‘탐지 레일’, 수레에게 레드스톤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주는 ‘활성화 레일’도 있어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22년 1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상민 교사,유튜브 크리에이터
  • 에디터

    이다솔 기자 기자

🎓️ 진로 추천

  • 컴퓨터공학
  • 소프트웨어공학
  • 게임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