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은 전통적인 우리나라의 집이에요. 주변 자연 환경과 어울리면서도 고풍스러운 한옥은 보기에도 아름답고 과학적인 원리도 숨어 있답니다.
오늘은 마인크래프트에서 코딩으로 한옥을 지어 볼게요.
첫 번째 코딩으로 건축하기
한옥을 벽면, 기둥, 지붕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하나씩 만들어 볼게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채팅명령어를 ‘1’로 약속하세요.
➋ ‘블록-블록 채우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블록을 ‘부드러운 안산암’으로 바꾸고 좌표를 화면과 같이 설정하세요. 한옥의 바닥을 받치는 부분을 안산암으로 만드는 명령이에요.
➌ 같은 방법으로 ‘흰색 콘크리트’와 ‘나무 판자’ 블록을 화면과 같은 좌표에 채우도록 코딩하세요. 흰색 콘크리트의 경우, 외곽선 옵션을 선택해 방 내부가 비도록 하세요. 한옥의 방과 바닥을 만드는 명령이에요.
➍ 채팅명령어를 ‘2’로 약속하세요.
➎ ‘고급-모양-선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블록을 ‘벗겨진 자작나무 원목’으로 바꾸세요.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코드도 작성하세요. 지붕을 받치는 네 개의 기둥을 만드는 명령이에요.
➏ 채팅명령어를 ‘3’으로 약속하세요.
➐ ‘반복-반복(for)’ 명령블록을 가져와 반복 횟수를 ‘5’로 바꾸세요.
➑ ‘블록-블록 채우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블록을 ‘검은색 테라코타’로 바꾸세요. 이어서 ‘변수-index’, ‘계산-더하기’, ‘계산-빼기’ 명령블록을 가져와 화면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세요. 한옥의 지붕을 층층이 높이 올릴수록 너비가 좁아지는 모양으로 만드는 명령이에요.
➒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를 ‘1’부터 ‘3’까지 차례대로 실행하세요. 이때 플레이어는 움직이면 안돼요.
잠깐! 코딩으로 꼭 건축해야 할까요?
좌표를 계산하며 코딩하는 과정은 마인크래프트 맵에서 블록을 직접 놓는 것에 비해 번거롭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건축물의 크기가 커지면 단순 작업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코딩을 활용하는 것이 좋아요. 코딩으로 건축할 때는 플레이어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좌표를 사용하세요. 상대좌표로 작성하면 플레이어가 이동하면서 원하는 위치에 건물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 세부 건축하기
➊ 벽면이 없는 부분이 대청마루예요. 마인크래프트 맵에서 플레이어를 이용해 마루로 올라가는 계단과 방으로 들어가는 문을 만들어 주세요.
➋ 대청마루 반대쪽 안산암을 부수고 모닥불을 설치하세요. 모닥불 주변에 안산암 계단을 설치해서 온돌을 표현해 보세요.
➌ 배너를 방향이 어긋나게 설치하여 병풍을 표현해 보세요. 촛불, 카펫, 독서대와 같은 아이템을 활용하여 방을 다양하게 꾸며 보세요.
잠깐! 우리의 전통 난방 구조인 ‘온돌’은 특별한 점이 무엇인가요?
서양에서는 벽난로를 설치하여 방 안의 공기를 데워요. 그래서 바닥이 비교적 차가워 거주인이 침대에서 자고 실내에서도 신발을 신지요. 반면에 한옥에서 주로 쓰는 난방 장치인 ‘온돌’은 바닥을 데워 방을 따뜻하게 만들어요.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실내에서 신발을 벗고 주로 바닥에 앉아 생활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