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 지렁이 나라는 전세계에 걸쳐 있다네. 전세계 어디든 가리지 않는데, 지상에 사는 생물들과는 패턴이 좀 다르지. 여기 지도를 보면서 더 자세히 설명해주겠네.

 

세계 최초, 지렁이 지도 완성되다!


10월 25일, 독일 통합 생물다양성 연구센터 헬렌 필립스 연구원팀은 전세계에 어떤 지렁이가 얼마나 살고 있는지 조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지금까지 지렁이 생태계에 대한 연구는 작은 지역 단위로 이뤄졌는데, 필립스 연구원팀이 처음으로 전세계의 자료를 모아 한번에 정리한 거예요.


헬렌 필립스 연구원은 2016년부터 전세계 지렁이 연구자들에게 공동 연구를 하자고 제의했어요. 그래서 이번 연구는 참여한 과학자 수만 해도 어마어마해요. 모두 37개국 140명의 연구자가 57개국 6928곳의 땅을 조사한 결과지요.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구팀은 각 조사 장소마다 몇 종의 지렁이가, 몇 마리나 살고 있는지, 또 몇 g의 지렁이가 살고 있는지를 알아보았어요. 이 자료를 분석하면 지렁이의 종 다양성이 높은지, 지렁이 한 마리당 크기가 대략 어느 정도인지 등을 추론할 수 있어요. 분석 결과, 연구팀은 종 다양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온대 지역이란 사실을 알아냈지요. 보통 지상 생물의 경우,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서 종 다양성이 높은데, 지하에 사는 지렁이의 생태 지도는 이와는 다른 패턴을 보인 거예요. 열대 지역으로 갈수록 지렁이의 종 다양성은 줄어들었지요. 


이에 연구팀은 지렁이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도 알아봤어요. 지렁이의 종 다양성, 개체수, 질량을 조사하면서 해당 지역의 고도, 토질, 강수량, 기온 등을 함께 비교해, 각 요인이 종 다양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거예요. 그 결과 연구팀은 종 다양성과 질량에는 강수량이, 개체수에는 기온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토질이 가장 중요할 거란 예상과 다른 결과였죠.


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연구 결과는 기후 변화가 지렁이 군집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지렁이 군집의 변화는 곧 다른 생물 종에게 연쇄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말했어요. 이어 “생물 다양성을 연구할 때 지상과는 다른 지하 생물 다양성 패턴도 꼭 연구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지요.

 

 

_INTERVIEW

 

헬렌 필립스(독일 통합 생물다양성 연구센터(iDiv)연구원)

 

“저는 컴퓨터로 일하는 생태학자예요!”

 

140명의 연구자와 함께 지렁이 지도를 완성한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거예요.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직접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

 

 Q 어떻게 지렁이 연구를 시작하게 됐나요?


이번 연구를 하기 직전 맡았던 프로젝트가 인간의 땅 사용이 생물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어요. 그때 처음 알게 됐죠. 땅속 생물 다양성에 대한 연구 결과가 별로 없단 걸요. 그래서 먼저 땅속 세균과 곰팡이 연구를 시작했고, 그 뒤 지렁이 연구도 하게 됐답니다.

 

 Q 지렁이 연구가 왜 중요한가요?


지렁이는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고, 기후를 조절하거나 땅속으로 물이 잘 스며들도록 돕죠. 그러니 이처럼 우리를 도와주는 지렁이를 지키기 위해 그들이 어디에 사는지, 지렁이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아야 해요.

 

 Q 야외 환경에서 지렁이 자료를 수집하는 일이 힘들진 않나요?


아! 지금까지 발표한 논문 중에 저의 야외 조사 결과가 담긴 건 하나도 없어요. 물론 저도 몇 년 전 야외에서 조사를 한 적이 있는데, 저는 야외 조사에 정말 소질이 없더라고요! 그래서 대신 다른 연구자들과 협력하면서 컴퓨터로 자료를 분석하는 일을 선택했죠. 그게 제가 더 잘하는 일이랍니다.

 

 Q 앞으로도 지렁이 연구를 계속 하실 건가요?


당연하죠! 이번 연구는 시작일 뿐이에요. 이번 연구에서 기후가 지렁이의 종 다양성과 개체수에 영향을 미친단 사실을 밝혔다면, 다음 연구에서는 기후와 지렁이 군집 사이에 구체적으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밝히는 게 목표예요. 이어서 기후 변화가 지렁이 군집을 바꾸는 게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알아보고 싶고요.

 

 Q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사람들은 발 밑에 또 하나의 세계가 있단 사실을 쉽게 잊어요. 지상보다 지하에 더 많은 생물종이 살고 있는데 말이에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꼭 모두가 야외에 나가 땅을 파고 생물을 채집하는 야외 조사를 할 필요는 없어요. 연구자들을 연결하고, 자료를 분석하는 저처럼 손을 더럽히지 않고도(?) 생태를 연구할 수 있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9년 2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진로 추천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환경학·환경공학
    • 도시·지역·지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