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용어 따라잡기] 효소, 암

올해 노벨상 수상자가 정해졌군~.

미래의 노벨상 수상자를 꿈꾸는 과학마녀 일리!

일단 이번 수상자들의 연구부터 분석해 봐야겠어~.     

일단 노벨 화학상부터~!
‘인위적으로 효소에 돌연변이를 일으켜….’ 잠깐만! 효소가 뭐지? 효모랑 다른 건가?


 

효소는 단백질의 일종이에요. 생물체의 몸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반응에 참여해 촉매 역할을 하지요.
효소는 ‘효모 효(酵)’와 ‘본디 소(素)’가 합쳐진 단어예요. ‘효모에 있는 요소’를 의미하지요. 효소의 영단어인 ‘Enzyme’에도 같은 의미가 숨어 있어요. ‘Enzyme’은 그리스어 ‘ενζυμον’에서 유래된 단어로, 영어로 풀이하면 ‘in leaven’이에요. ‘효모(leaven) 안에 있는 것’이란 뜻이랍니다.
한편 효모는 빵이나 맥주 등을 만들 때 사용하는 미생물이에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하는 ‘발효’를 일으키는데, 이때 이산화탄소가 만들어져요. 이로 인해 김치가 익는 과정에서 거품이 생겨 부글부글 끓는 소리가 나고, 빵 반죽이 부풀어 오르지요. 효모의 영단어 ‘yeast’는 ‘끓는다’는 뜻의 고대 영어 ‘gyst’에서 유래되었답니다.

 

암은 몸안에 비정상적으로 자라나 질병을 일으키는 세포 덩어리를 말해요. 여러 가지 이유로 유전자에 변화가 일어나면서 세포가 불완전하게 자라고, 과다하게 증식하지요. 이후 다른 장기로 번져 장기의 구조와 기능을 파괴한답니다. 

암의 영단어는 ‘cancer’예요. 이 단어는 그리스어로 ‘게(crab)’를 뜻하는 ‘카르키노스(karkinos)’에서 유래했어요. 암세포가 장기의 사방으로 뻗어있는 모습이 기다란 다리로 돌에 붙어 있는 게의 모습과 비슷하기 때문이지요. 또 암세포가 전이된 장기는 점점 단단해지는데, 이 모습을 딱딱한 게 껍질에 비유한 거랍니다. 
한편 한자에서도 단단한 암 덩어리의 모습을 표현하고 있어요. ‘암(癌)’은 ‘병 녁(疒)’과 ‘바위 암(喦)’으로 이뤄져 있어요. 즉, ‘몸속에 바위처럼 단단한 덩어리가 생기는 병’이라는 뜻을 갖고 있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2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윤선 기자 기자
  • 기타

    일러스트 박동현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의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