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전!반려동물] 어린 댕댕이는 사회에 적응 중?

열한 번째 사연이 도착했네요.
“처음으로 어린 강아지 ‘댕댕이’를 키우게 됐어요. 강아지에게 줘야 하는
먹이나 똥오줌을 가리는 방법과 같은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선 익히 들었어요.
혹시 저희 강아지가 어린 시기에 꼭 배워야 하는 것들이 또 있나요?”

 

강아지에겐 낯선 대상이 필수!

갓 태어난 강아지는 후각과 통각만이 발달돼 있어요. 냄새와 피부 감각 정도만 느끼다가 생후 2주가 지나면 눈이 보이고 귀가 들리기 시작하지요. 이 시기부터 생후 12주까지 강아지는 다양한 경험을 하며 앞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성을 배워요. 이를 ‘사회화 시기’라고 말해요. 
사회화 시기의 핵심은 주변의 많은 자극들이 자신에게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배우는 거예요. 빠르게 달리는 자동차, 시끄러운 소리를 내는 오토바이, 낯선 사람, 낯선 동물 등과 같은 새로운 자극을 자연스레 접하는 과정이지요. 이러한 경험이 부족한 강아지는 불필요하게 많이 짖거나 낯선 대상을 무는 등 다양한 문제 행동을 나타낼 수 있어요. 
사람도 어렸을 때 경험한 무섭거나 위협적인 감정이 평생 남는 것처럼, 강아지도 사회화 시기에 겪은 감정이 평생 남아요. 따라서 새로운 자극을 마주칠 때 통증이나 위협적인 요소가 있어선 안돼요. 강아지가 놀라지 않도록 처음엔 대상을 멀리서 지켜볼 수 있게 하고, 점차 거리를 좁혀 나가세요. 새로운 대상을 마주칠 때마다 간식을 제공해 긍정적인 기억으로 남기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요.

 

강아지에겐 친구가 필요해!

오랜 시간 키워도 보호자와 친해지지 못하는 반려견도 있어요. 사회화 시기에 보호자와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앉기’, ‘기다리기’, ‘엎드리기’ 등의 간단한 훈련은 보호자와 유대감을 쌓는 건 물론, 인내심을 배우는 데도 도움이 돼요. 간식이나 사료를 사용한 보상 훈련이 가장 좋으며, 강아지가 힘들어 할 수도 있으니 훈련은 10분 단위로 하세요. 중간에 마음껏 쉴 수 있는 휴식시간도 있어야 강아지가 훈련을 즐거운 놀이로 인식할 수 있어요.
또 보호자뿐만 아니라, 같은 종끼리 친해지는 것도 중요해요. 강아지끼리 함께 뛰어 놀며 해도 되는 것과 하지 말아야 하는 것들을 자연스레 배우고 긍정적인 에너지를 얻기도 한답니다. 
비슷한 연령대의 강아지를 친구 삼아 자주 만나도록 해 주되, 반려견이 다른 강아지를 만나면서 스트레스를 받진 않는지 확인해 보세요. 매번 과도하게 헉헉거리고 으르렁대거나, 불안한 모습을 보인다면 친구와의 만남으로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사람에게 각자 맞는 친구가 있는 것처럼, 강아지도 마찬가지이므로 이럴 땐 다른 친구를 구해 주세요.

 

동물병원을 잘 다니는 고양이의 비결, 사회화 교육!
집에서만 지내는 고양이에게도 사회화 교육이 필요해요. 주기적으로 동물병원을 방문해야 하고, 낯선 사람이 집에 찾아오는 등 얼마든지 새로운 변화가 생길 수 있거든요. 변화가 생길 때마다 불안해하는 고양이는 문제 행동을 일으키거나 심한 경우 정신 질환에 걸리기도 해요.
고양이의 사회화 시기는 생후 2주부터 8주까지로 강아지보다 조금 짧아요. 우선 이동장에 익숙해지는 훈련이 필요해요. 이동장에서 편안히 있을 수 있어야 다양한 사람, 사물, 장소를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이동장을 항상 고양이가 가까이 할 수 있는 곳에 두고, 이동장에서 편하게 놀 수 있도록 해 주세요. 


이동장과 주변 환경에 익숙해졌다면 개를 만나 보세요. 사회화 시기에 다른 동물을 만나보지 못한 고양이는 커서 다른 동물에게 공격성을 보이기 쉽거든요.
하지만 아무런 준비없이 개를 만나게 하면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어요. 최대한 넓은 공간에서 고양이가 언제든 숨을 수 있는 터널이나 상자를 준비해 둬야 해요. 그다음 고양이가 호기심을 갖고 개에게 먼저 다가갈 때까지 기다리세요. 장난을 치고 서로의 냄새를 맡으며 어울려 놀기 시작할 때 간식을 주는 것도 좋아요.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8년 21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이혜원 박사
  • 에디터

    박영경 기자 기자
  • 기타

    일러스트 고고핑크

🎓️ 진로 추천

  • 수의학
  • 심리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