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기술의 집합체, 휴대전화


최초의 휴대전화는 1kg?
최초의 상업용 휴대전화는 모토로라 회사가 만든 ‘다이나택(DynaTAC)8000x’이에요. 1983년에 출시된 ‘다이나택 8000x’는 가로 4cm, 세로 8cm, 높이 40cm 정도로 크기가 무척 컸어요. 무게도 800g에 달했지요.

크고 무거워서 ‘다이나택 8000x’로 사람을 다치게 하는 사건도 있었다고 해요. 휴대전화 부속 부품이나 통신 기술 등이 발달해 있지 않아서 8시간 충전하면 30분 정도만 통화할 수 있었어요.


뚜껑을 여닫을 수 있는 휴대전화 등장
모토로라는 한동안 휴대전화 시장에서 선두주자로 활약했어요. ‘다이나택 8000x’가 나오고 6년 후 모토로라는 최초의 플립형 휴대전화인 ‘마이크로택(MicroTAC)’을 출시했어요. 휴대전화 키패드를 덮는 뚜껑을 만들어서 오작동을 줄였어요. 당시 인기가 굉장했다고 해요. 무게도 200g 정도로, ‘다이나택 8000x’에 비해 아주 가벼워졌죠.


더 작아지고, 더 가벼워지다!
모토로라는 ‘마이크로택’ 후속작으로 ‘스타택(StarTAC)’을 선보였어요. ‘스타택’은 화면을 접을 수 있는 최초의 폴더폰으로, 당시 인기가 엄청났다고 해요. 약 80g의 무게로 ‘다이나택 8000x’에 비하면 10배나 가벼워졌답니다. 이후 아날로그부터 디지털까지 적용된 다양한 ‘스타택’ 모델이 나왔어요.

이후 노키아에서 슬라이드폰 ‘노키아 8110’을, IBM에서 스마트폰 ‘IBM 사이먼(Simon)’을 개발했어요. 과학기술의 발전과 함께 휴대전화도 나날이 발전했죠? 많은 기술자, 과학자들의 노력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휴대전화를 만날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앞으로는 휴대전화에 어떤 멋진 기능이 추가될지 궁금해지네요!


우리나라 기업인 바이로봇에서 세계 최초의 배틀드론 ‘드론파이터’를 만들었다.

다양한 드론(Drone)을 만날 수 있는 요즘! 제가 사용하는 초소형 쿼드콥터 드론인 ‘드론 파이터(Drone Fighter)’를 소개할게요. 드론은 회전날개 숫자에 따라 구분하는데, 쿼드콥터는 회전날개가 4개인 드론이랍니다.

드론 파이터는 모터, 40여 개의 LED,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기, 조종기 등으로 구성돼 있어요. HD 카메라도 부착돼 있는데, 화질이 1080 x 720 픽셀로 선명해요.

드론 파이터를 조정할 수 있는 실력에 따라 ‘모드’를 바꿀 수 있어요. 저는 전문가 모드를 사용해요. 드론이 충돌하거나 추락할 경우 프로펠러가 손상되거나 사람이 다치는 것을 막기 위해서 프로펠러에 ‘가드’라는 액세서리를 붙여요. 프로펠러 가드를 붙이지 않으면 전문가 모드로 조종할 수 있어요.

드론 파이터는 크기가 작아서 360° 회전이 가능해요. 또한, 일정한 위치에 떠서 멈춰 있는 정지비행도 할 수 있어요. 그래서 팀을 나누고 드론 파이터로 게임을 하면 정말 재미있어요! 조종기의 두 가지 레버로 ‘쉴드’, ‘데몬’, ‘물 폭탄’, ‘부스터’, ‘헤딩 락’ 등의 다양한 기술을 시도해 보고 있답니다.

기자단 친구들도 드론을 좋아하나요? 그렇다면 드론 파이터를 이용해서 짜릿한 게임을 해 보길 바랄게요!



조선 왕릉은 519년 동안 27대에 걸쳐 조선을 통치한 왕과 왕비의 무덤이에요. 조선 왕릉은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어요. 500년 이상 왕조를 이끈 왕족의 무덤이 훼손 없이 보존된 사례는 전세계적으로 조선 왕릉이 유일하다고 하니, 대단하죠!

조선시대 왕이 죽으면 신하들은 왕이 머무를 왕릉을 만드는 데 정성을 다했어요. 좌우에 산맥과 물줄기가 감싸진 곳에 왕릉을 만들었어요.

왕릉 하나를 완성하는 데 5개월이라는 시간이 걸렸다고 해요. 그동안 왕의 시신은 어떻게 보관했을까요? 냉동 시설이 없던 조선시대에는 ‘빙반(氷盤)’이라는 냉동 영안실을 만들었어요. 대나무로 만든 평상에 시신을 두고, 주위에 얼음을 놓아요. 그리고 시신이 썩는 것을 막기 위해 시신 주위에 마른 미역을 쌓아두어 습기를 흡수하게 했어요.

왕과 왕비가 죽으면 살아서 입은 옷, ‘상위복’을 흔들어 “임금의 영혼이시여. 돌아오소서.”라고 외치는 문화도 있었다고 해요. 또한, 왕세자는 3일간 금식을 하고 나라의 혼례, 도살, 음악 연주를 모두 막았어요.

동구릉에는 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세자, 문조의 수릉이 있다.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역사와 과학, 문화가 깃든 조선 왕릉! 세계적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선조들의 문화가 자랑스럽습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7년 08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한지원 6학년
  • 안지빈 6학년
  • 김수민 5학년

🎓️ 진로 추천

  • 정보·통신공학
  • 역사·고고학
  • 환경학·환경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