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UN청소년환경총회’가 지난 10월 1일부터 3일 동안 서울대학교에서 열렸어요. 300여 명의 청소년 대표단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원순환’에 대해 공식 결의안을 만들어 채택했답니다. 이 공식 결의안은 유엔환경계획(UNEP)에 전달할 예정이에요.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기자입니다. 총회가 열리기 전, 9월 24일에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쓰레기 처리 방법을 배우고, ‘NO! 일회용품, YES! 재활용품’ 퍼포먼스도 했습니다. 본격적인 총회가 시작됐고, 저는 분리수거 위원회에서 헝가리 국가를 배정받았습니다.
자료 조사 중 헝가리에 재활용 가게가 많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특히,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 에체리 벼룩시장(Ecseri Flea Market)이 동유럽 최대 규모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헝가리는 벼룩시장이 활성화돼 쓰레기가 줄어듦에 따라 쓰레기 수거 비용도 줄었다고 합니다.
둘째 날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지환 박사님의 ‘Better life for girls’ 강연을 들었습니다. 인도 소녀들은 월경할 때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이 부끄러워 집에 머문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교 공부를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 못하게 된다고 들었습니다.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고, 도울 방법을 찾고 싶었습니다.
UN청소년환경총회를 통해 분리수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벼룩시장에 참여하고, 분리수거를 제대로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저는 영어위원회의 필리핀 대표가 되어 ‘Marine Debris(바다쓰레기)’를 주제로 안건 상정에 참여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4월 15일자>; ‘쓰레기섬의 비밀’ 기사가 총회를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섬나라이고 해양관광지인 필리핀은 바다쓰레기가 넘쳐나서 고통 받고 있습니다. 바다쓰레기의 80% 이상이 육지에서 왔다고 하니, 육지 쓰레기의 분리수거에 더욱 힘써야 할 것입니다.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바다미생물을 활용하거나 선박에서 바다쓰레기를 버리지 못하도록 감시용 드론을 띄우는 것은 어떨까요?
연설문을 준비하며 우리나라도 바다쓰레기 투기를 법으로 금지하는 ‘런던협정(2006년 발효)’에 가입했음을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2016년도에서야 모든 육상폐기물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됐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바다쓰레기를 강하게 제재하면 좋겠습니다. 이번 활동을 통해 지구와 인간의 건강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았습니다.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여한 송지호 기자입니다. 총회가 열리기 전, 9월 24일에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에서 워크숍이 열렸습니다. 쓰레기 처리 방법을 배우고, ‘NO! 일회용품, YES! 재활용품’ 퍼포먼스도 했습니다. 본격적인 총회가 시작됐고, 저는 분리수거 위원회에서 헝가리 국가를 배정받았습니다.
자료 조사 중 헝가리에 재활용 가게가 많다는 내용을 보았습니다. 특히, 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 에체리 벼룩시장(Ecseri Flea Market)이 동유럽 최대 규모라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헝가리는 벼룩시장이 활성화돼 쓰레기가 줄어듦에 따라 쓰레기 수거 비용도 줄었다고 합니다.
둘째 날에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안지환 박사님의 ‘Better life for girls’ 강연을 들었습니다. 인도 소녀들은 월경할 때 공중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이 부끄러워 집에 머문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학교 공부를 2016 UN청소년환경총회를 가다! 못하게 된다고 들었습니다. 안쓰러운 마음이 들었고, 도울 방법을 찾고 싶었습니다.
UN청소년환경총회를 통해 분리수거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벼룩시장에 참여하고, 분리수거를 제대로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저는 영어위원회의 필리핀 대표가 되어 ‘Marine Debris(바다쓰레기)’를 주제로 안건 상정에 참여했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2016년 4월 15일자>; ‘쓰레기섬의 비밀’ 기사가 총회를 준비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섬나라이고 해양관광지인 필리핀은 바다쓰레기가 넘쳐나서 고통 받고 있습니다. 바다쓰레기의 80% 이상이 육지에서 왔다고 하니, 육지 쓰레기의 분리수거에 더욱 힘써야 할 것입니다.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바다미생물을 활용하거나 선박에서 바다쓰레기를 버리지 못하도록 감시용 드론을 띄우는 것은 어떨까요?
연설문을 준비하며 우리나라도 바다쓰레기 투기를 법으로 금지하는 ‘런던협정(2006년 발효)’에 가입했음을 알게 됐습니다. 그런데 2016년도에서야 모든 육상폐기물의 해양 투기가 전면 금지됐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도 바다쓰레기를 강하게 제재하면 좋겠습니다. 이번 활동을 통해 지구와 인간의 건강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