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직~, 전류가 흐르는 숯이 있다? 신기한 숯 전지



지글지글, 고기가 익는 소리와 이 향긋한 숯 냄새….
역시 고기는 숯불구이야! 숯불구이…, 숯?
얘들아, 잠깐! 나 지금 무척 신기한 실험이 떠올랐어! 숯으로 전지를 만들어 보는 거야. 자, 재밌는 실험하러 출바~알.


1 전자가 흐르면 전류가 생긴다

네? 숯으로도 전지를 만들 수 있다고요?
전기가 나오는 전지 말이죠?

응, 그 전지 말이야. 숯으로 만들 수가 있지!

하지만 숯은 전기가 통하지도 않는걸요.
그런 숯으로 어떻게 전지를 만들 수 있다는 말씀이세요?

그래, 치성이 말대로 숯은 전기가 흐르지 않아.
하지만 숯은 전자를 아주 잘 받는 성질이 있단다.

전자를 받는다고요? 그럼 전자를 내는 물질도 있나요?

오, 치원이. 눈치가 빠르구나! 이 알루미늄 포일이 바로 전자를 잘 내는 물질 중 하나란다.

그럼 알루미늄 포일과 숯을 같이 두면 알루미늄 포일이 낸 전자를 숯이 받게 된다는 건가요?

그렇지! 알루미늄 포일에서 나온 전자가 숯으로 이동하는 거야. 이렇게 전자가 흐르는 것을 다른 말로 ‘전류’라고 한단다. 다시 말해, 전자가 흐른다는 것은 전기가 통한다는 뜻이지.

너희들이 잘 쓰는 건전지도 마찬가지란다.
가운데에 숯과 같은 성분을 가진 탄소막대가 들어 있고 그 옆에는 아연층이 있어. 아연은 알루미늄 포일 같이 전자를 잘 내는 금속이란다.
아연층에서 나온 전자가 탄소막대로 이동하면서 건전지 속에 전류가 생기는 거지.



2 숯으로 전지를 만들어라!

그럼 숯 전지를 만들어 볼까? 이 실험에서는 숯과 알루미늄 포일 사이에 소금물을 넣는 것이 포인트! 소금물은 전자가 이동할 수 있는 길이지. 소금물을 넣기는 어려우니까, 소금물을 적신 휴지를 준비하면 되겠지?



3 숯 전지로 프로펠러 돌리기

우와, 다 만들었어요!

그런데 우리가 만든 숯 전지에서 정말 전기가 나오는지 어떻게 알 수 있죠?

후후, 숯 전지가 이 작은 프로펠러를 돌릴 수 있는지 확인하면 돼.

4 숯 전지의 힘은 얼마나 될까?

박사님, 숯 전지로 불을 켤 수도 있을까요?

한 번 해 볼까? 숯 전지에 발광 다이오드(LED)를 연결해 보는 거야.

흑흑, 빛이 들어오지 않아요.

하하, 그 이유는 숯 전지의 전압이 불을 밝힐 만큼 세지 않아서야. 이 LED는 전압이 2V 이상이 돼야 켜진단다. LED의 불이 안 들어 오는 것을 보니 우리 숯 전지의 전압은 2V가 되지 않는 거지.

숯 전지의 전압을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짜잔! 그럴 줄 알고 전압을 잴 수 있는 ‘전압계’를 준비했지.
치원이가 한 번 연결해 볼까?

.868?

0.868! 우리가 만든 숯 전지의 전압이 0. 868V라는 거야. 건전지의 절반 정도 되는 구나!

숯 전지를 다 만들었으니 아까 숯불에 구운 고기를 다시 먹어볼까? 앗! 내 고기가 다 어디 간 거야! 내 고기~, 엉엉.

참여독자 : 이치원(서울 마포초 4) 이치성(서울 마포초 6)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13년 05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신선미 기자
  • 사진

    신선미 기자

🎓️ 진로 추천

  • 화학·화학공학
  • 전기공학
  • 물리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