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러운 오물을 모아 지구를 정복하려는 닥터그랜마예요. 쇠똥더미를 보면 사람들이 놀라 달아나겠죠? 히히. 앗, 그런데 저기 특이한 곤충이 있네요? 쇠똥을 구슬처럼 빚어 굴리고 있어요. 무슨 일인지 한번 물어봐야겠어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2/C201222N005_img_99.jpg)
쇠똥을 열심히 굴리는 너희는 누구니?
우리는 딱정벌레목 풍뎅이과에 속하는 쇠똥구리라는 곤충이에요. 지금은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을 만큼 많이 사라졌지만, 예전에는 6월이나 7월 즈음 시골길에서 우리를 흔하게 볼 수 있었어요. 우리는 소나 말, 사람이 눈 똥을 구슬처럼 둥글게 빚어서 물구나무 선 자세로 집까지 굴린 답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이런 우리 모습을 보고 태양을 굴리는 신의 모습을 상상하기도 했어요.
왜 더러운 똥을 굴리고 있지?
더…, 더럽다니요? 똥은 우리한테 맛있는 먹을거리 라고요. 우리는 식물의 잎이나 버섯을 먹고사는데요. ‘똥구슬’만 있으면 모든 영양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것은 먹지 않는답니다. 똥에는 물도 충분히 들어 있어서 따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어요. 똥구슬은 알을 낳아 애벌레를 키울 수 있는 따뜻한 요람이기도 해요. 애벌레가 태어났을 때 맛있는 먹이를 바로 먹을 수 있거든요. 우린 거리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역할도 하죠. 만약 우리가 똥을 굴리지 않았다면 옛날시골길에는 길마다 똥들이 잔뜩 널려 있었을 거예요!
조금씩 떼어서 옮기는 것이 낫지 않을까?
다른 곤충에서는 볼 수 없는 기이한 모습 때문에 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우리가 쇠똥을 굴리는 모습이나 이유에 대해 연구를 많이 했답니다. 똥을 촘촘하게 뭉쳐서 옮기면 우리 몸보다 훨씬 큰 똥 덩어리를 한 번에 옮길 수있어요. 또 둥근 똥구슬은 우리 집인 굴속에 저장하기가 쉽지요. 영양분을 따로 모으지 않고 똥 덩어리째로 옮기면 다른 곤충이나 동물들에게 빼앗기지도 않는답니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새로운 사실을 하나 더 알아냈대요. 똥구슬을 굴리면 그 안에 들어 있는 수분과 차가운 기운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햇볕을 받아 뜨거워진 모래땅이나 더운 사막에서도 시원하게 옮길 수 있다는 것이에요.
사람도 쇠똥을 유용하게 쓸 수 있을까?
더럽고 쓸모없는 똥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답니다. 친환경 도시로 알려진 스웨덴 예테보리에서는 가축 똥에서 얻은 메탄가스를 이용해 난방을 하거나 자동차를 움직여요. 우리나라에서도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똥으로 전기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22/C201222N005_img_99.jpg)
쇠똥을 열심히 굴리는 너희는 누구니?
우리는 딱정벌레목 풍뎅이과에 속하는 쇠똥구리라는 곤충이에요. 지금은 보호종으로 지정되었을 만큼 많이 사라졌지만, 예전에는 6월이나 7월 즈음 시골길에서 우리를 흔하게 볼 수 있었어요. 우리는 소나 말, 사람이 눈 똥을 구슬처럼 둥글게 빚어서 물구나무 선 자세로 집까지 굴린 답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은 이런 우리 모습을 보고 태양을 굴리는 신의 모습을 상상하기도 했어요.
왜 더러운 똥을 굴리고 있지?
더…, 더럽다니요? 똥은 우리한테 맛있는 먹을거리 라고요. 우리는 식물의 잎이나 버섯을 먹고사는데요. ‘똥구슬’만 있으면 모든 영양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것은 먹지 않는답니다. 똥에는 물도 충분히 들어 있어서 따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어요. 똥구슬은 알을 낳아 애벌레를 키울 수 있는 따뜻한 요람이기도 해요. 애벌레가 태어났을 때 맛있는 먹이를 바로 먹을 수 있거든요. 우린 거리를 깨끗하게 청소하는 역할도 하죠. 만약 우리가 똥을 굴리지 않았다면 옛날시골길에는 길마다 똥들이 잔뜩 널려 있었을 거예요!
조금씩 떼어서 옮기는 것이 낫지 않을까?
다른 곤충에서는 볼 수 없는 기이한 모습 때문에 과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우리가 쇠똥을 굴리는 모습이나 이유에 대해 연구를 많이 했답니다. 똥을 촘촘하게 뭉쳐서 옮기면 우리 몸보다 훨씬 큰 똥 덩어리를 한 번에 옮길 수있어요. 또 둥근 똥구슬은 우리 집인 굴속에 저장하기가 쉽지요. 영양분을 따로 모으지 않고 똥 덩어리째로 옮기면 다른 곤충이나 동물들에게 빼앗기지도 않는답니다. 그런데 최근 과학자들이 새로운 사실을 하나 더 알아냈대요. 똥구슬을 굴리면 그 안에 들어 있는 수분과 차가운 기운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햇볕을 받아 뜨거워진 모래땅이나 더운 사막에서도 시원하게 옮길 수 있다는 것이에요.
사람도 쇠똥을 유용하게 쓸 수 있을까?
더럽고 쓸모없는 똥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답니다. 친환경 도시로 알려진 스웨덴 예테보리에서는 가축 똥에서 얻은 메탄가스를 이용해 난방을 하거나 자동차를 움직여요. 우리나라에서도 국립축산과학원에서 똥으로 전기를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