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 여러분. 오늘은 특별한 소식이 있습니다. 지금 헷갈리나가 누더기 소녀, 신데렐라를 화려한 패션왕으로 변신시키겠다고 하는데요, 신기하게도 마법이 아닌 과학을 이용하겠다고 합니다. 어떤 원리를 쓸 지 궁금하군요. 그 과정을 곽혜진, 김중열 명예기자가 생생히 취재했습니다.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99.jpg)
Step 1 체형연구소
내 몸의 장점과 단점을 찾아라!
네, 저는 지금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에 나와 있습니다. 제 옆에 오늘의 주인공, 헷갈리나가 있습니다.
까리까리 깔까리~.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여러분. 오늘 신데렐라의 변신, 기대해도 좋아. 이곳은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알아보는 ‘체형연구소’야. 누구나 큰 키에 늘씬한 8등신 몸매를 꿈꾸지만 사실 이상적인 체형은 드물지. 아무리 유명한 슈퍼모델이라도 단점은 하나씩 갖고 있기 마련이야.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가리기 위해서는 먼저 내 몸이 어떤 형인지 알아야겠지? 체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여러 방법이 있지만 나는 상체 폭과 하체 폭을 이용했어. 어깨의 양끝 사이 거리인 ‘어깨폭’, 허리의 양끝 사이 거리인 ‘허리폭’, 엉덩이 양끝 사이 거리인 ‘엉덩이폭’을 측정해 체형을 분류하면, 형태의 특징에 따라 A, X, H, V형으로 나눌 수 있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1.jpg)
Step 2 색연구소
색으로 크게, 작게!
음, 노란색이 가장 크네요.
틀렸어! 이 카드는 크기가 모두 같아.
하지만 조금씩 달라 보이는 데요?
그게 바로 색이 일으키는 착시야. 색에 따라 크기가 달라 보이지. 이런 것을 색의 ‘면적감’이라고 한단다. 색의 면적감은 색의 밝기인 ‘명도’에 달렸어. 명도가 높은 색(밝은 색)일수록 커 보이고, 명도가 낮은 색(어두운 색)일수록 작아 보이지. 이 중에는 노란색이 명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커 보이는 거야. 반대로 보라색은 명도가 가장 낮아서 작아 보인단다.
그렇다면 뚱뚱한 부분에 어두운 색을 배치하면 날씬해 보이겠군요. 반대로 마른 부분에는 밝은 색 옷을 입으면 약간 살이 있어 보일 테고요.
맞았어! 하나를 알려 주면 둘을 아는군. 신데렐라처럼 A형인 경우에는 밝은 색 상의에 어두운 색 하의를 입으면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맞출 수 있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2.jpg)
![명도가 낮은 색인 남색 티셔츠를 입었을 때(왼쪽)가 명도가 높은 주황색 티셔츠를 입었을 때(오른쪽) 보다 날씬해 보여요. 이런 게 바로 색을 이용한 착시랍니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3.jpg)
Step 3 선연구소
선으로 길게, 짧게!
자, 이번엔 긴 막대와 짧은 막대를 준비했어. 어떤 게 더 굵어 보이니?
짧은 막대가 조금 굵어 보여요.
깔깔깔, 사실 두 막대의 굵기는 같아. 길이가 길수록 더 가늘어 보이는 효과가 있지.
신데렐라도 굽이 높은 구두를 신어서 다리 길이를 길게 하면, 다리가 더 가늘어 보이겠네요!
앗, 눈치 챘군. 그래서 ‘유리 구두’를 준비했지. 짜잔~!
하지만 저희 같은 초등학생은 그렇게 높은 신발은 신을 수가 없는 걸요.
그렇다면 ‘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어. 몸에 선을 그으면 시선이 분산되거든. 특히 가로선을 어디에 긋느냐에 따라 부위 별 길이는 달라 보이지. 예를 들어, 허리선을 위로 올리면 상체가 짧아 보이고 하체는 길어 보이지. 길어진 만큼 하체가 더 가늘어 보이는 거야. 선을 이용한 착시는 무늬에 이용할 수도 있어. 가로선을 비슷한 간격으로 여러 개 배열하면 길이가 길어 보이는 효과가 난단다. 가로선의 배열에 따라 시선이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이지. 방금 설명한 것처럼 길이가 길어지면 그만큼 폭은 좁아 보이는 거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4.jpg)
Step 3 액세서리연구소
액세서리로 시선을 잡아라!
이번에는 좀 더 확실하게 단점을 감추는 방법을 알려 줄게. 단점의 반대쪽에 큰 액세서리를 다는 거야. 그럼 액세서리에 시선이 고정되기 때문에 단점은 잘 보이지 않지. 신데렐라는 다리 반대쪽인 머리에 포인트를 주면 되겠지? 머리에 예쁜 리본을 묶어서 시선을 끌어 올릴 셈
이야.
와, 머리띠를 했더니 신데렐라의 예쁜 얼굴이 강조돼 보이네요.
장점 부분에 액세사리를 달면 오히려 장점을 강조할 수도 있지. 그래서 몸매에 자신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강조점을 머리쪽에 두라고 추천한단다. 얼굴을 확 살려 주는 역할을 하거든. 스카프, 모자, 브로치, 목걸이, 귀고리 같은 액세서리가 대표적이지.
Step 4 아바타연구소
옷, 이제는 입어 보고 주문하자!
이제 상점에 가서 지금까지 생각한 것과 같은 옷을 고르면 되겠군요.
허리선이 위쪽에 있고 상의 색은 밝으며 하의 색은 어두운 원피스 말이지? 그런 옷을 찾았다고 하자. 과연 사이즈가 딱 맞을까? 맞다고 해도 길이는 적당할지, 그 옷이 신데렐라에게 어울릴지는 모르는 일일테고, 또….
옷을 찾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네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그래서 준비했지! 나의 야심작, 아바타연구소야! 디자인을 스스로 결정하고 내 몸에 꼭 맞는 의복을 주문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지.
그런 게 과연 가능할까요? 옷은 입어 봐야 아는 건데 말이죠.
나와 똑같이 생긴 ‘아바타’를 컴퓨터에 만들어 놓는 거야. ‘3차원 바디스캐너’라는 기계를 이용하면 키와 가슴 둘레, 허리 둘레 등이 나와 똑같은 아바타를 만들 수 있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면 옷도 가상제품으로 만들 수 있단다. 아바타에 가상제품을 하나씩 입혀보며 내게 꼭 맞고 잘 어울리는 옷을 찾는 거야. 이 주문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옷을 만들어 배달해 준단다. 이 시스템이 널리 쓰인다면, 옷을 생각한대로 만들 수 있는 세상이 되겠지. 어서 그 날이 왔으면 좋겠다. 깔깔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5.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99.jpg)
Step 1 체형연구소
내 몸의 장점과 단점을 찾아라!
네, 저는 지금 헷갈리나의 패션연구소에 나와 있습니다. 제 옆에 오늘의 주인공, 헷갈리나가 있습니다.
까리까리 깔까리~. 안녕, ‘어린이과학동아’ 여러분. 오늘 신데렐라의 변신, 기대해도 좋아. 이곳은 자신의 체형을 정확히 알아보는 ‘체형연구소’야. 누구나 큰 키에 늘씬한 8등신 몸매를 꿈꾸지만 사실 이상적인 체형은 드물지. 아무리 유명한 슈퍼모델이라도 단점은 하나씩 갖고 있기 마련이야.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가리기 위해서는 먼저 내 몸이 어떤 형인지 알아야겠지? 체형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여러 방법이 있지만 나는 상체 폭과 하체 폭을 이용했어. 어깨의 양끝 사이 거리인 ‘어깨폭’, 허리의 양끝 사이 거리인 ‘허리폭’, 엉덩이 양끝 사이 거리인 ‘엉덩이폭’을 측정해 체형을 분류하면, 형태의 특징에 따라 A, X, H, V형으로 나눌 수 있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1.jpg)
Step 2 색연구소
색으로 크게, 작게!
음, 노란색이 가장 크네요.
틀렸어! 이 카드는 크기가 모두 같아.
하지만 조금씩 달라 보이는 데요?
그게 바로 색이 일으키는 착시야. 색에 따라 크기가 달라 보이지. 이런 것을 색의 ‘면적감’이라고 한단다. 색의 면적감은 색의 밝기인 ‘명도’에 달렸어. 명도가 높은 색(밝은 색)일수록 커 보이고, 명도가 낮은 색(어두운 색)일수록 작아 보이지. 이 중에는 노란색이 명도가 가장 높기 때문에 커 보이는 거야. 반대로 보라색은 명도가 가장 낮아서 작아 보인단다.
그렇다면 뚱뚱한 부분에 어두운 색을 배치하면 날씬해 보이겠군요. 반대로 마른 부분에는 밝은 색 옷을 입으면 약간 살이 있어 보일 테고요.
맞았어! 하나를 알려 주면 둘을 아는군. 신데렐라처럼 A형인 경우에는 밝은 색 상의에 어두운 색 하의를 입으면 상체와 하체의 비율을 맞출 수 있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2.jpg)
![명도가 낮은 색인 남색 티셔츠를 입었을 때(왼쪽)가 명도가 높은 주황색 티셔츠를 입었을 때(오른쪽) 보다 날씬해 보여요. 이런 게 바로 색을 이용한 착시랍니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3.jpg)
Step 3 선연구소
선으로 길게, 짧게!
자, 이번엔 긴 막대와 짧은 막대를 준비했어. 어떤 게 더 굵어 보이니?
짧은 막대가 조금 굵어 보여요.
깔깔깔, 사실 두 막대의 굵기는 같아. 길이가 길수록 더 가늘어 보이는 효과가 있지.
신데렐라도 굽이 높은 구두를 신어서 다리 길이를 길게 하면, 다리가 더 가늘어 보이겠네요!
앗, 눈치 챘군. 그래서 ‘유리 구두’를 준비했지. 짜잔~!
하지만 저희 같은 초등학생은 그렇게 높은 신발은 신을 수가 없는 걸요.
그렇다면 ‘선’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어. 몸에 선을 그으면 시선이 분산되거든. 특히 가로선을 어디에 긋느냐에 따라 부위 별 길이는 달라 보이지. 예를 들어, 허리선을 위로 올리면 상체가 짧아 보이고 하체는 길어 보이지. 길어진 만큼 하체가 더 가늘어 보이는 거야. 선을 이용한 착시는 무늬에 이용할 수도 있어. 가로선을 비슷한 간격으로 여러 개 배열하면 길이가 길어 보이는 효과가 난단다. 가로선의 배열에 따라 시선이 상하로 이동하기 때문이지. 방금 설명한 것처럼 길이가 길어지면 그만큼 폭은 좁아 보이는 거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4.jpg)
Step 3 액세서리연구소
액세서리로 시선을 잡아라!
이번에는 좀 더 확실하게 단점을 감추는 방법을 알려 줄게. 단점의 반대쪽에 큰 액세서리를 다는 거야. 그럼 액세서리에 시선이 고정되기 때문에 단점은 잘 보이지 않지. 신데렐라는 다리 반대쪽인 머리에 포인트를 주면 되겠지? 머리에 예쁜 리본을 묶어서 시선을 끌어 올릴 셈
이야.
와, 머리띠를 했더니 신데렐라의 예쁜 얼굴이 강조돼 보이네요.
장점 부분에 액세사리를 달면 오히려 장점을 강조할 수도 있지. 그래서 몸매에 자신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강조점을 머리쪽에 두라고 추천한단다. 얼굴을 확 살려 주는 역할을 하거든. 스카프, 모자, 브로치, 목걸이, 귀고리 같은 액세서리가 대표적이지.
Step 4 아바타연구소
옷, 이제는 입어 보고 주문하자!
이제 상점에 가서 지금까지 생각한 것과 같은 옷을 고르면 되겠군요.
허리선이 위쪽에 있고 상의 색은 밝으며 하의 색은 어두운 원피스 말이지? 그런 옷을 찾았다고 하자. 과연 사이즈가 딱 맞을까? 맞다고 해도 길이는 적당할지, 그 옷이 신데렐라에게 어울릴지는 모르는 일일테고, 또….
옷을 찾는 것도 만만치 않은 일이네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그래서 준비했지! 나의 야심작, 아바타연구소야! 디자인을 스스로 결정하고 내 몸에 꼭 맞는 의복을 주문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지.
그런 게 과연 가능할까요? 옷은 입어 봐야 아는 건데 말이죠.
나와 똑같이 생긴 ‘아바타’를 컴퓨터에 만들어 놓는 거야. ‘3차원 바디스캐너’라는 기계를 이용하면 키와 가슴 둘레, 허리 둘레 등이 나와 똑같은 아바타를 만들 수 있지. 3차원 그래픽을 이용하면 옷도 가상제품으로 만들 수 있단다. 아바타에 가상제품을 하나씩 입혀보며 내게 꼭 맞고 잘 어울리는 옷을 찾는 거야. 이 주문 버튼을 클릭하기만 하면 옷을 만들어 배달해 준단다. 이 시스템이 널리 쓰인다면, 옷을 생각한대로 만들 수 있는 세상이 되겠지. 어서 그 날이 왔으면 좋겠다. 깔깔깔.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12/C201212N007_img_0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