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엔 잎이 푸른 식물을 구경하기가 쉽지 않아.
하지만 씨앗과 물만 있으면 파릇파릇한 새싹을 언제든 만날 수 있어. 게다가 며칠만에 맛있고 몸에도 좋은 새싹으로 자란다고. 다양한 새싹채소를 보여 줄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99.jpg)
새싹채소는 씨앗에서 자란 어린 떡잎과 줄기를 먹는 채소를 말해. 싹채소 또는 싹기름채소라고도 하지. 따로 정해진 채소가 있는 건 아니야. 무나 브로콜리 같은 채소부터 보리나 밀 같은 곡물까지 씨앗을 뿌려서 얻은 어린 떡잎이나 줄기, 잎을 신선한 상태로 먹을 수 있는 걸 모두 새싹채소라고 한단다. 싹이 자라서 잎이 1~3개쯤 달린 어린 채소지.
사람들은 어떤 새싹채소를 많이 먹을까? 콩나물과 녹두는 오래전부터 먹어온 거라 가장 많이 먹는 새싹채소로 볼 수 있어. 그 다음으로는 무싹, 배추싹, 브로콜리싹, 알팔파싹이 인기가 높아. 또 들깨싹, 메밀싹, 겨자싹, 다채싹, 크레스싹, 보리싹도 사람들이 좋아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2.jpg)
패트병(오른쪽)이나 사기 그릇(위쪽)을 이용하면 무순싹(오른쪽)이나 알팔파싹(위쪽) 같은 새싹채소를 간편하게 기를 수 있다.
새싹채소의 종류
무싹 열을 낮추고 부기를 가라앉힘.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3.jpg)
브로콜리싹 암 예방.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4.jpg)
겨자싹 카로틴과 칼슘, 철분 함유.
순무싹 간염과 황달 개선.
알팔파싹 배변과 피부 미용에 도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7.jpg)
다채싹 야맹증 예방.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8.jpg)
적무싹 소화에 도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9.jpg)
들깨싹 어린이 발육과 산후 조리에 좋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0.jpg)
크레스싹 간에 좋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1.jpg)
배추싹 위에 좋고 변비 개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2.jpg)
메밀싹 혈관 질환과 비만 개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3.jpg)
보리싹 혈압 낮추고 빈혈과 당뇨병 개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4.jpg)
겨울에 새싹채소를 기르면 좋은 점이 또 있어. 겨울에는 아주 건조해서 건강이 나빠질 수 있잖아. 그런데 콩나물 같이 물을 넉넉하게 주는 새싹채소를 기르면 집안의 습도를 적당히 유지시켜 주는 가습기 역할도 하거든. 새싹채소와 함께 올 겨울을 활기차게 보내는 건 어떨까.
하지만 씨앗과 물만 있으면 파릇파릇한 새싹을 언제든 만날 수 있어. 게다가 며칠만에 맛있고 몸에도 좋은 새싹으로 자란다고. 다양한 새싹채소를 보여 줄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99.jpg)
사람들은 어떤 새싹채소를 많이 먹을까? 콩나물과 녹두는 오래전부터 먹어온 거라 가장 많이 먹는 새싹채소로 볼 수 있어. 그 다음으로는 무싹, 배추싹, 브로콜리싹, 알팔파싹이 인기가 높아. 또 들깨싹, 메밀싹, 겨자싹, 다채싹, 크레스싹, 보리싹도 사람들이 좋아해.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1.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2.jpg)
패트병(오른쪽)이나 사기 그릇(위쪽)을 이용하면 무순싹(오른쪽)이나 알팔파싹(위쪽) 같은 새싹채소를 간편하게 기를 수 있다.
무싹 열을 낮추고 부기를 가라앉힘.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3.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4.jpg)
겨자싹 카로틴과 칼슘, 철분 함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5.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6.jpg)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7.jpg)
다채싹 야맹증 예방.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8.jpg)
적무싹 소화에 도움.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09.jpg)
들깨싹 어린이 발육과 산후 조리에 좋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0.jpg)
크레스싹 간에 좋음.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1.jpg)
배추싹 위에 좋고 변비 개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2.jpg)
메밀싹 혈관 질환과 비만 개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3.jpg)
보리싹 혈압 낮추고 빈혈과 당뇨병 개선.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201/C201201N011_img_14.jpg)
겨울에 새싹채소를 기르면 좋은 점이 또 있어. 겨울에는 아주 건조해서 건강이 나빠질 수 있잖아. 그런데 콩나물 같이 물을 넉넉하게 주는 새싹채소를 기르면 집안의 습도를 적당히 유지시켜 주는 가습기 역할도 하거든. 새싹채소와 함께 올 겨울을 활기차게 보내는 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