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유인원 행동에 대한 연구가 시작됐다고 해. 연구 대상은 바로 오랑우탄! 흥미진진하지?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가 이런 특종을 놓칠 리 없지! 오랑우탄의 행동을 왜 연구하는 걸까? 또 뭘 연구하는 거지? 호기심을 가득 안고 서울대공원으로 함께 가 보자!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118/C201118N009_img_99.jpg)
![오랑우탄이 나무 동전을 돌려주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오랑우탄들은 실험실을 익숙하게 느끼게 된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118/C201118N009_img_01.jpg)
오랑우탄의 문화를 실험다하!
익숙화 과정 후에는 여러 가지 색깔의 상자 속 버튼을 막대기로 눌러 먹이를 얻는 실험을 할 거예요. 이 때는 옆에 있는 다른 오랑우탄 친구와 함께 실험을 하게 되지요. 누구와 실험하느냐에 따라 선택하는 색이 달라지는지, 또 친구가 고른 상자의 색이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연구할 예정이에요. 이 실험을 통해 오랑우탄들이 누구의 행동을 어떻게 따라하는지를 알 수 있어요. 즉, 누군가를 따라하면서 배우게 되는 ‘문화’가 어떻게 이어지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오랑우탄, 더 알고 싶다면…!
오랑우탄에 대한 연구는 오랑우탄에 대해 더 잘 알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오랑우탄과 비슷한 사람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알게 해 준다고 해. 우리는 오랑우탄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졌단다. 그런데 오랑우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꼭 해야 하는 일이 있대. 도대체 그게 뭘까?
연구 & 보호, 둘 다 중요해!
오랑우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오랑우탄을 보호하는 것이 무척 중요해요. 오랑우탄은 인도양과 태평양이 만나는 곳에 있는 보루네오 섬과 수마트라 섬에만 살아요. 그런데 이 섬의 숲이 팜유를 만드는 기름야자 농장으로 바뀌면서 오랑우탄은 멸종위기를 맞고 있지요.
지구에서 오랑우탄이 사라진다면 오랑우탄에 대해 더 알고 싶어도 알 수 없게 될 거예요. 그래서 오랜 기간 동안 침팬지를 연구한 제인 구달 박사나 오랑우탄을 연구한 비루테 칼디카스 박사도 현재는 침팬지나 오랑우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답니다. 친구들에게 오랑우탄에 대한 영화를 하나 추천하고 싶어요. ‘그린’이라는 영화랍니다. 인터넷 웹페이지 www.greenthefilm.com 으로 들어가서 ‘Watch The Movie(영화보기)’ 버튼을 누르면 무료로 볼 수 있어요. 이 영화를 통해 어린이 친구들이 오랑우탄 왜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게 됐으면 좋겠어요!
![1971년 오랑우탄 연구를 시작한 비루테갈디카스 박사는 아직도 보루네오 섬의 밀림 속에서 오랑우탄을 연구하는 동시에 오랑우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118/C201118N009_img_02.jpg)
눈앞에서 직접 본 오랑우탄은 정말 사람과 비슷한 동물이었어. 사람처럼 감정까지 비슷하게 느끼는 것 같았단다. 이렇게 흥미로운 동물인 오랑우탄을 연구하는 데에는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인내심과 끈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어.
우리 함께 오랑우탄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지고, 또 오랑우탄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래? 오랑우탄에 대한 놀라운 연구 결과를 앞으로도 계속 듣기 위해서 말이야!
![](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118/C201118N009_img_99.jpg)
오랑우탄을 연구하는 방법
우리는 오랑우탄을 어떻게 연구하는지, 왜 연구하는지 빨리 알고 싶어 서둘러 서울대공원으로 갔어. 그런데 오랑우탄의 행동을 연구하고 있는 라우라 교수님은 서둘러선 안 된다고 이야기하셨어. 오랑우탄뿐만 아니라 동물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힘든 연구라는 거야. 도대체 그게 무슨 말이지? 그냥 하면 되는 거 아냐?
오랑우탄은 어떻게 연구하나요?
동물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예요. 첫 번째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을 관찰하는 방법이에요. 두 번째는 실험실에서 어떤 조건을 주고 동물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하는 방법이지요. 우리는 서울대공원에 살고 있는 오랑우탄들에게 일정한 조건을 주고 오랑우탄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연구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왜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건가요?
자연 속에서 오랑우탄을 관찰할 때는 오랜 시간 끈기 있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실험실에서 오랑우탄을 연구할 때도 오랜 시간이 걸린답니다. 그 이유는 실험실 환경이나 실험하는 사람, 실험 장치에 오랑우탄들이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이에요. 이를 ‘익숙화 과정’이라고 불러요,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오랑우탄들이 낯선 실험실을 불안해 하거나 실험에 집중하지 못해요. 그럼 제대로 된 실험결과가 나오지 않지요. 실험실 안으로 들어오게 만드는 것조차도 힘들어요. 그래서 익숙화 과정이 무척 중요하답니다.
아하! 연구를 하기 전에 오랑우탄과 친해져야 하는 거군요!
맞아요. 이제 오랑우탄들과 함께 실험을 시작해 볼까요? 먼저 마스크를 써야 해요. 오랑우탄은 물론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동물들은 사람과 무척 비슷하기 때문에 걸리는 병도 비슷해요. 침팬지의 감기가 사람에게 옮거나, 반대로 사람의 감기가 침팬지에게 옮을 수도 있지요. 그래서 서로의 건강을 위해 마스크
를 꼭 써야 하지요. 이제 정말 준비가 됐군요. 그럼 실험실로 함께 들어가 볼까요?
오랑우탄, 동전을 주세요~!
에코과학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오랑우탄 연구는 지난 2010년 12월에 시작됐어. 지금까지 9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익숙화 과정의 실험을 하고 있다고 해. 본격적인 실험은 11월이나 12월에 시작된다고 하니, 정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연구지? 그렇다면 익숙화 과정에서는 어떤 실험을 하고, 본격적인 실험은 무엇을 하는 걸까?
동전 주면, 과일 주지!
익숙화 과정의 오랑우탄들은 나무 동전 주고받기를 하고 있었어. 정해진 구멍으로 나무 동전을 주면, 오랑우탄들이 정해진 구멍으로 동전을 돌려주는 실험이란다. 이걸 잘 해내면 오랑우탄들은 과일을 상으로 받을 수 있어. 실험에는 서울대공원에 살고 있는 보라와 보석, 보람, 보미 이렇게 네 마리의 오랑우탄들이 참가하고 있었어. 각각 20번씩 동전 주고받기를 했는데, 보라와 보미는 20번 모두 성공했지만 보석이는 14번만 성공했어. 보람이는 실험을 아예 하지 못했지. 나중에 알고 보니 보석이와 보람이가 몸이 아파서 설사를 많이 했다지 뭐야. 이렇게 동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동물의 상태와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아. 그래서 실험 일지에도 주변 환경을 어땠으며 어떤 과일을 상으로 받았는지 등을 아주 자세하게 기록한단다.
우리는 오랑우탄을 어떻게 연구하는지, 왜 연구하는지 빨리 알고 싶어 서둘러 서울대공원으로 갔어. 그런데 오랑우탄의 행동을 연구하고 있는 라우라 교수님은 서둘러선 안 된다고 이야기하셨어. 오랑우탄뿐만 아니라 동물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것은 오랜 시간이 걸리는 힘든 연구라는 거야. 도대체 그게 무슨 말이지? 그냥 하면 되는 거 아냐?
오랑우탄은 어떻게 연구하나요?
동물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예요. 첫 번째는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을 관찰하는 방법이에요. 두 번째는 실험실에서 어떤 조건을 주고 동물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 관찰하는 방법이지요. 우리는 서울대공원에 살고 있는 오랑우탄들에게 일정한 조건을 주고 오랑우탄들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연구하고 있답니다.
그런데 왜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건가요?
자연 속에서 오랑우탄을 관찰할 때는 오랜 시간 끈기 있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런데 실험실에서 오랑우탄을 연구할 때도 오랜 시간이 걸린답니다. 그 이유는 실험실 환경이나 실험하는 사람, 실험 장치에 오랑우탄들이 익숙해져야 하기 때문이에요. 이를 ‘익숙화 과정’이라고 불러요,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오랑우탄들이 낯선 실험실을 불안해 하거나 실험에 집중하지 못해요. 그럼 제대로 된 실험결과가 나오지 않지요. 실험실 안으로 들어오게 만드는 것조차도 힘들어요. 그래서 익숙화 과정이 무척 중요하답니다.
아하! 연구를 하기 전에 오랑우탄과 친해져야 하는 거군요!
맞아요. 이제 오랑우탄들과 함께 실험을 시작해 볼까요? 먼저 마스크를 써야 해요. 오랑우탄은 물론 침팬지나 고릴라 같은 동물들은 사람과 무척 비슷하기 때문에 걸리는 병도 비슷해요. 침팬지의 감기가 사람에게 옮거나, 반대로 사람의 감기가 침팬지에게 옮을 수도 있지요. 그래서 서로의 건강을 위해 마스크
를 꼭 써야 하지요. 이제 정말 준비가 됐군요. 그럼 실험실로 함께 들어가 볼까요?
오랑우탄, 동전을 주세요~!
에코과학연구소에서 진행하는 오랑우탄 연구는 지난 2010년 12월에 시작됐어. 지금까지 9개월이 지났지만, 아직도 익숙화 과정의 실험을 하고 있다고 해. 본격적인 실험은 11월이나 12월에 시작된다고 하니, 정말 시간이 많이 걸리는 연구지? 그렇다면 익숙화 과정에서는 어떤 실험을 하고, 본격적인 실험은 무엇을 하는 걸까?
동전 주면, 과일 주지!
익숙화 과정의 오랑우탄들은 나무 동전 주고받기를 하고 있었어. 정해진 구멍으로 나무 동전을 주면, 오랑우탄들이 정해진 구멍으로 동전을 돌려주는 실험이란다. 이걸 잘 해내면 오랑우탄들은 과일을 상으로 받을 수 있어. 실험에는 서울대공원에 살고 있는 보라와 보석, 보람, 보미 이렇게 네 마리의 오랑우탄들이 참가하고 있었어. 각각 20번씩 동전 주고받기를 했는데, 보라와 보미는 20번 모두 성공했지만 보석이는 14번만 성공했어. 보람이는 실험을 아예 하지 못했지. 나중에 알고 보니 보석이와 보람이가 몸이 아파서 설사를 많이 했다지 뭐야. 이렇게 동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은 동물의 상태와 주변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아. 그래서 실험 일지에도 주변 환경을 어땠으며 어떤 과일을 상으로 받았는지 등을 아주 자세하게 기록한단다.
![오랑우탄이 나무 동전을 돌려주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오랑우탄들은 실험실을 익숙하게 느끼게 된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118/C201118N009_img_01.jpg)
오랑우탄의 문화를 실험다하!
익숙화 과정 후에는 여러 가지 색깔의 상자 속 버튼을 막대기로 눌러 먹이를 얻는 실험을 할 거예요. 이 때는 옆에 있는 다른 오랑우탄 친구와 함께 실험을 하게 되지요. 누구와 실험하느냐에 따라 선택하는 색이 달라지는지, 또 친구가 고른 상자의 색이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연구할 예정이에요. 이 실험을 통해 오랑우탄들이 누구의 행동을 어떻게 따라하는지를 알 수 있어요. 즉, 누군가를 따라하면서 배우게 되는 ‘문화’가 어떻게 이어지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오랑우탄, 더 알고 싶다면…!
오랑우탄에 대한 연구는 오랑우탄에 대해 더 잘 알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오랑우탄과 비슷한 사람에 대해서도 더 자세히 알게 해 준다고 해. 우리는 오랑우탄에 대해 점점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졌단다. 그런데 오랑우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꼭 해야 하는 일이 있대. 도대체 그게 뭘까?
연구 & 보호, 둘 다 중요해!
오랑우탄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오랑우탄을 보호하는 것이 무척 중요해요. 오랑우탄은 인도양과 태평양이 만나는 곳에 있는 보루네오 섬과 수마트라 섬에만 살아요. 그런데 이 섬의 숲이 팜유를 만드는 기름야자 농장으로 바뀌면서 오랑우탄은 멸종위기를 맞고 있지요.
지구에서 오랑우탄이 사라진다면 오랑우탄에 대해 더 알고 싶어도 알 수 없게 될 거예요. 그래서 오랜 기간 동안 침팬지를 연구한 제인 구달 박사나 오랑우탄을 연구한 비루테 칼디카스 박사도 현재는 침팬지나 오랑우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답니다. 친구들에게 오랑우탄에 대한 영화를 하나 추천하고 싶어요. ‘그린’이라는 영화랍니다. 인터넷 웹페이지 www.greenthefilm.com 으로 들어가서 ‘Watch The Movie(영화보기)’ 버튼을 누르면 무료로 볼 수 있어요. 이 영화를 통해 어린이 친구들이 오랑우탄 왜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게 됐으면 좋겠어요!
![1971년 오랑우탄 연구를 시작한 비루테갈디카스 박사는 아직도 보루네오 섬의 밀림 속에서 오랑우탄을 연구하는 동시에 오랑우탄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https://images.dongascience.com/uploads/article/Contents/201118/C201118N009_img_02.jpg)
눈앞에서 직접 본 오랑우탄은 정말 사람과 비슷한 동물이었어. 사람처럼 감정까지 비슷하게 느끼는 것 같았단다. 이렇게 흥미로운 동물인 오랑우탄을 연구하는 데에는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인내심과 끈기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달았어.
우리 함께 오랑우탄에 대해 계속 관심을 가지고, 또 오랑우탄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을래? 오랑우탄에 대한 놀라운 연구 결과를 앞으로도 계속 듣기 위해서 말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