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빨간 피의 진실

단원5. 살아 있는 생물 5_4 혈액의 기능과 순환



날씨가 궂은 날이면 할아버지는 내게 어깨를 주물러 달라 하신다. 아빠는 억지로 날 붙잡고 뜨거운 욕
탕에 몸을 담그려 하시고 엄마는 몸이 찌뿌드드하다며 찜질방에 가신다. 그리고는 한결같이 하시는 말씀.“어~, 시원해!”난 아프고 뜨겁기만 한 게 뭐가 좋다고 그러실까? 궁금해서 여쭤 보면 혈액 순환
이 잘 돼서 그런 거란다. 하지만 나는‘피’하면 다쳤을 때의 아픈 기억밖에 없다. 피! 도대체 너의 정
체는 뭐냐?

혈액의 기능

혈액은 몸 속의 모든 장기와 세포에 영양과 산소를 공급한다. 혈액은 우리 몸 구석구석까지 연결되어 있는 혈관을 통해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순환한다. 우리 몸에는 대략 몸무게의 8%에 해당하는 양의 혈액이 있다. 몸무게가 30㎏이라고 하면 약 2.4L의 혈액이 있는 셈이다. 이 중에서 3분의 1 가량을 잃으면 목숨이 위험해진다. 사고를 당해서 혈액을 잃었을 때는 곧바로 부족한 혈액을 보충해 주어야 한다.

동맥과 정맥, 그리고 가늘어서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는 모세혈관을 한 줄로 이으면 그 길이는 10만㎞가 넘는 다. 지구를 세 번 정도 감을 수 있는 길이다.

뇌는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이다. 그만큼 에너지도 많이 소비하기 때문에 혈액은 부지런히 뇌로영양분과 산소를 실어 나른다. 뇌가 소비하는 산소는 대단히 많아 평소에는 우리 몸에 필요한 산소의 25~30%를 소비한다. 공부와 같이 뇌를 많이 쓰는 활동을 할 때는 전체의 40%에 해당하는 산소를 소비한다.
 


혈액의 구성

혈액은 여러 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혈액을 시험관에 담아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리면 무
게에 따라 성분별로 나누어진다. 시험관 아래쪽에 모인 붉은색 성분은 적혈구로 혈액의 43% 정도
를 차지한다. 적혈구 바로 위에는 백혈구와 혈소판이 모여 있으며 혈액의 2% 정도다. 나머지는 혈
장으로 가장 가볍고 시험관의 가장 위쪽에 있으며 옅은 노란색을 띤다.


 


 
혈장은 대부분 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백질이 약간 섞여 있다. 혈장은 작은창자에서 흡수한 영양소를 운반하며 세포에서 생긴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운반한다.

백혈구는 우리 몸을 보호한다. 세균이나 이물질이 몸 속 으로 침입하면 백혈구가 잡아먹는다.

혈소판은 큰 세포에서 떨어져 나온 세포 조각으로 상처가 나면 혈액을 굳게 하여 상처 부위를 덮듯 막는다. 이렇게 되면 상처에서 더 이상 피가 나오지 않는다.

적혈구는 산소를 운반한다. 적혈구에 있는 헤모글로빈은 허파에서 산소와 결합하여 다른 곳의 세포에 산소를 공급한다. 헤모글로빈에는 철이 포함되어 있어 적혈구를 붉게 만든다. 혈액이 붉은 것은 적혈구 때문이다.


 

혈액 순환의 원동력, 심장

심장은 쉬지 않는 펌프다. 우리가 살아 있는 한 심장은 단 한 순간도 멈추지 않고 혈액을 온 몸으로 뿜어낸다. 사람의 심장은 각각 두 개의 심방과 심실로 이루어져 있다. 심방은 정맥과 연결되어 순환을 마치고 돌아온 혈액을 받아들이고, 심실은 동맥과 연결되어 혈액을 내보낸다. 70년을 산다고 가정하면 평생 동안 심장은 약 26억 번 뛰며, 심장을 거쳐 간 혈액의 양은 2억 L에 달한다.

 


클릭생활 A형은 소심하다?

“A형은 소심하다.”“B형은 제멋대로다.”혈액형과 성격에 관한 수많은 속설은 과연 사실일까? 절대 그렇지 않다. 혈액형과 성격이 상관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사람의 성격은 매우 복잡한 과정을 통해 정해지며 환경이나 자신의 의지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다. 혈액형별 성격을 믿고 다른 사람의 성격을 멋대로 생각해 버리는 잘못을 범하지 말자!
그러면 혈액형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ABO식 혈액형은 1901년 오스트리아의 과학자 칼 란트슈타이너가 발견했다. 당시에는 환자에게 수혈할 때 혈액이 굳어서 환자가 사망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란트슈타이너는 혈액에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서로 맞지 않는 혈액형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혈액형의 발견 덕분에 수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저는 혈액형이 Rh-형이래요~!

혈액형의 종류는 다양하여 단순히 ABO식으로만 구분할 수 없다. Rh-형 혈액형은 백인들에게는 흔한 편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000명 중 1~3명 꼴로 보기 힘든 혈액형이다. 희귀하지만 정상이므로 걱정할 필요는 전혀 없다. 다만 Rh+형 혈액을 수혈할 수 없기 때문에 사고에 대비하여 Rh-형 혈액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에 가입해 두는 편이 좋다.

헌혈을 하면 몸에 좋지 않다던데요?

우리 몸에는 충분한 양의 혈액이 있으며, 매일 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소량의 혈액을 기증하는 것은 건강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 게다가 헌혈을 하면 간단한 혈액 검사로 건강 상태를 점검해 주니 일석이조다. 하지만 원래 건강에 이상이 있거나 혈압이 정상이 아닌 사람은 헌혈을 할 수 없다. 그리고 어린이 여러분은 아직 몸이 다 자라지 않았기 때문에 헌혈을 할 수 없다.

고기만 먹으면 몸에 좋지 않아요!

칼로리가 높고 지방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먹으면 동맥 안쪽 벽에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이 쌓인다. 그러면 혈관이 좁아져 혈액이 잘 흐르지 못해 온몸으로 산소와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워진다. 건강을 위해서는 항상 야채를 많이 먹고 운동을 많이 해야 한다.

살아있는 실험실 내 심장은 얼마나 자주 뛸까?

평생 쉬지 않고 뛰는 심장은 얼마나 자주 뛸까? 심장이 1분에 몇 번이나 뛰는지 확인해 보자. 심
장이 있는 왼쪽 가슴에 손을 대고 세어도 좋고 맥박을 이용해서 세어도 좋다. 맥박은 심장이 혈액
을 밀어 낼 때 동맥이 갑자기 팽창했다가 수축하는 현상을 말하기 때문에 맥박이 뛰는 횟수는 심
장이 뛰는 횟수와 같다.

 

나는 정상일까?

심장은 나이를 먹을수록 천천히 뛴다. 초등학생은 1분에 80~90회를 뛰는 것이 정상이다. 아기들은 1분에 약120회 정도 뛰며 어른이 되면 60~70회가 정상이다. 여성은 남성보다 약간 더 빨리 뛴다. 운동을 격렬하게 하면 근육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호흡이 가빠지고 심장이 빨리 뛰는데 평상시보다 두세 배 빨리 뛴다. 운동을 많이 해서 심장이 튼튼할수록 평소에 심장이 느리게 뛴다. 마라톤 선수는 1분에 40회 정도만 뛰는 경우도 있다.
 

이 기사의 내용이 궁금하신가요?

기사 전문을 보시려면500(500원)이 필요합니다.

2006년 23호 어린이과학동아 정보

  • 고호관 기자

🎓️ 진로 추천

  • 의학
  • 생명과학·생명공학
  • 화학·화학공학
이 기사를 읽은 분이 본
다른 인기기사는?